
리플(XRP)은 11월에 들어서면서 강력한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최근 전문 분석가들은 미국 최초의 스폿 XRP 상장지수펀드(ETF) 출범과 관련된 수급 상황 및 온체인 지표들을 토대로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하고 있다.
리플의 전용 송금 토큰인 XRP는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승인을 받은 ‘XRPC ETF’의 거래 시작 소식에 힘입어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 ETF는 캐너리 캐피털에 의해 출시된 상품으로, XRP 가격을 실시간으로 추종하는 최초의 공식 상장 ETF로 알려져 있다. 일반 주식과 마찬가지로 브로커 계좌를 통해 간편하게 거래할 수 있어, 투자자들의 접근성 및 수요 증대가 기대되고 있다.
더욱이, 미국 핀테크 플랫폼 로빈후드에서 XRPC를 공식 상장함에 따라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제도권 진입과 거래 편의성 강화는 XRP 수요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전문가들의 분석이 뒷받침되고 있다.
온체인 지표 역시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고 있다. 데이터 분석업체 코인글래스에 따르면, 최근 수주 간 XRP의 중앙화 거래소에서의 유출량이 유입량을 초과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투자자들이 토큰을 장기 보유용으로 외부 지갑으로 이전하고 있다는 증거로, 단기 매도 압력이 줄어들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리플 네트워크의 활동도 매우 활발하다. 최근 하루 평균 송금 건수가 100만 건에 달했으며, 총 거래량은 최대 200만 건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지난 11일에는 신규 계정 생성 건수가 1만 3,000개를 돌파하여 올해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러한 지표들은 XRP 생태계가 다시 생기를 찾고 있음을 강하게 시사한다.
하지만 매도세도 존재한다는 점은 부각할 필요가 있다. 최근 한 달간, 주요 투자자들, 이른바 ‘고래’들은 약 14억 개의 XRP를 시장에 매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시세로 환산할 경우 약 35억 달러(약 4조 6,000억 원)에 달하는 규모로, 대량 매도는 XRP의 유통량 증가로 이어지며, 향후 수요가 좇아오지 못할 경우 가격 조정의 가능성을 높인다.
결국 XRP의 향후 움직임은 ETF 출범과 관련한 제도권 진입 효과가 실제 투자 수요로 연결될 수 있는지, 그리고 주요 투자자들의 매도 영향을 시장이 얼마나 잘 흡수할 수 있는지에 달려 있다. 현재로서는 긍정적인 요소와 부정적인 요소가 공존하고 있지만, 리플(XRP)이 다시금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