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XRP) ETF 상장 이후 9% 하락… 3억 달러 출금에도 가격 반등 없어

[email protected]



리플(XRP) 가격이 ETF 상장 이후 한밤 사이 9% 급락하며 2.30달러(약 3,105원) 아래로 떨어졌다. 같은 기간 중앙화 거래소에서는 1억 4,900만 개 이상의 리플이 출금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여전히 무기력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블록체인 분석업체 크립토퀀트(CryptoQuant)의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24시간 동안 약 3억 3,600만 달러(약 446억 원) 규모의 리플이 거래소에서 대량으로 출금됐다. 이는 최근 몇 달간 단일 거래일 기준으로 가장 큰 감소폭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자산의 출금은 장기 보관을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 매도 압력을 줄이는 긍정적인 신호로 여겨지지만, 이번에는 리플 가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주목할 점은 미국 최초의 리플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XRPC’가 11월 13일 거래를 시작한 직후 오히려 가격이 하락했기 때문이다. XRPC는 첫날 5,800만 달러(약 77억 원)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순조로운 출발을 보였고, 2억 4,500만 달러(약 326억 원)의 자금이 유입되었으나, 예상보다 이른 차익 실현 매물이 쏟아지며 단기 급락세로 이어졌다.

트레이딩 분석가 크립토 파텔(Crypto Patel)은 “시장은 보통 뉴스보다 먼저 반응하며, 소액 투자자들은 그 뒤를 따른다”고 설명하면서, 리플이 기존 상승 채널의 하단에서 지지를 받고 있어 추세가 완전히 무너진 것은 아니라고 지적했다.

한편, 거래소 내 대형 지갑의 입금 활동도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바이낸스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10월 이후부터 고래(Whale) 자금의 입금이 전체적으로 감소하고 있어 이는 매도 압력이 완화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러나 여전히 새로운 매수세의 유입이 미미하여 가격은 정체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기술적 지표에선 중립적인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리플의 3일 기준 RSI(상대강도지수)는 46 수준으로 약한 상승 모멘텀을 보이고 있으나, 확실한 반등 신호는 없다. 일부 분석가는 과거 RSI 레벨과 유사한 패턴이 큰 상승으로 이어졌던 경험이 있지만, 현재 구간은 변동성을 기대하기엔 이르다는 의견이다.

최근 대규모 입출금과 ETF 상장 등의 이벤트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리플 가격은 여전히 제한된 변동성 속에 갇혀 있는 모습이다. 공급이 줄어든 상태에서 수요가 증가하지 않으면 투자 심리는 더욱 위축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앞으로 시장이 리플에 대해 어떤 방향성을 취할지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