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 AI 책임자, ‘3~6개월 뒤쳐져 있는 모델 구축의 이점’ 강조

[email protected]





마이크로소프트의 AI 책임자인 무스타파 술레이만은 세계에서 가장 큰 인공지능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비용이 많이 들고 중복적일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최신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하는 대신 ‘3~6개월 뒤쳐져 있는’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여러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강조했다. 술레이만은 “최전선에서 모델이 먼저 나올 때까지 기다리는 것은 비용 면에서 더 저렴하고, 특정 용례에 집중할 수 있게 해준다”고 설명했다. 이는 ‘오프 프론티어’ 모델 전략이라고 불리며 마이크로소프트의 주요 전략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또한 그는 마이크로소프트의 내부 AI 시스템의 발전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고 주장하며, 장기적으로 AI를 자급자족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마이크로소프트는 OpenAI와의 협력으로 AI 모델을 얻고 있으며, 최근에는 새로운 컴퓨팅 파워를 확보하기 위해 CoreWeave와의 관계도 강화하고 있다. 술레이만은 이번 발표에서 마이크로소프트의 디지털 어시스턴트인 Copilot이 사용자 맞춤형 기능을 추가하여 보다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AI 기술이 시급한 만큼, 우리가 최대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수의 기업으로부터 AI 모델을 유입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Copilot에 대해 ‘메모리’ 기능을 추가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기본 정보를 유지할 예정이다. 이는 OpenAI의 ChatGPT에서 처음 도입된 기능으로, 5억 명 이상의 주간 사용자들이 이 특혜를 누리고 있다.

OpenAI의 최신 언어 생성 modelos와 이미지를 생산하는 시스템은 마이크로소프트의 여러 제품에 통합되어 있으며, Copilot 역시 새로운 기능을 점진적으로 흡수하고 있다. 술레이만은 “우리는 AI 팀에 강력한 인재를 보유하고 있으며, 모든 모델이 최전선에 도달할 필요는 없다”고 지적하며, 비용 측면에서의 중복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와 같은 배경 속에서 마이크로소프트는 AI 모델을 더욱 발전시키는데 주력하면서도, 최근 OpenAI와의 관계에서 약간의 균열이 보이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OpenAI를 경쟁자로 간주하기 시작했으며, OpenAI는 클라우드 제공업체인 오라클과의 협력을 발표했다. 그러나 마이크로소프트는 OpenAI가 최근 Azure에 대한 큰 규모의 약정을 체결했다고 주장하며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술레이만은 “2030년까지 OpenAI와의 파트너십이 계속될 것”이라며 “AI 자립이 우리의 궁극적인 목표”라고 밝혔다. 그는 “최고의 모델을 먼저 구축하는 것은 매우 비쌀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중복을 초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전략적 접근은 마이크로소프트가 AI 기술에서 경쟁 우위를 점하고, 더 나아가 자원의 효과적 사용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한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