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스트래티지($MSTR)는 비트코인(BTC) 매입 방식이 시장 가격에 영향력을 미치지 않도록 설계되었다고 밝혔다. 이 회사의 BTC 자산 운영을 책임지는 시리시 자조디아(Shirish Jajodia)는 최근 코인스토리(Coin Stories) 팟캐스트에 출연하여 기관 매입이 가격 상승으로 이어진다는 통념에 대해 반박했다.
자조디아는 “우리는 비트코인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가격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매우 신중하게 매수 전략을 구성하고 있으며, 해당 과정은 철저히 비공식적으로 진행된다”며 기관의 비트코인 구매가 시장에 신호를 주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2020년부터 BTC 구매를 시작하여 현재까지 총 62만 9,376 BTC를 확보했으며, 이는 현재 시가 기준 약 708억 5천만 달러(한화 약 98조 4,765억 원)에 해당하는 규모로, 기업 차원에서 세계 최대의 비트코인 보유량을 기록하고 있다.
앞서, 기관 투자자의 대규모 비트코인 구매가 시장 가격에 단기적 상승 압력을 가한다는 관측이 있긴 했지만, 자조디아는 “우리는 시장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최소화하며, 거래 방식은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분석하여 결정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매입을 추구하는 형태를 유지하고 있음에도, 기관이 시장에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가격에 큰 신호 효과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기관 매수가 단순히 거래 차원을 넘어 ‘신뢰의 상징’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는 투자 심리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마이크로스트래티지의 공동 창업자인 마이클 세일러(Michael Saylor)는 비트코인 최대 옹호자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비트코인 보유 전략은 개인적인 철학에 깊이 뿌리를 두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결국, 마이크로스트래티지의 지속적인 비트코인 비축 전략은 시장의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겠다는 원칙을 고수하면서도, 여전히 기관 투자자의 존재가 비트코인 시장 전체에 미치는 신뢰와 심리적 영향력은 간과할 수 없는 요소임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