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세일러, “비트코인과 월가의 새로운 시대가 온다”

[email protected]



비트코인 지지자인 마이클 세일러(Michael Saylor)가 “비트코인은 미래다”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세일러는 최근 트위터를 통해 “월가(Wall Street)는 오렌지색”이라고 선언하며, 비트코인의 도래를 상징적으로 알렸다. 이 트윗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기업 퇴직연금 계좌에서도 비트코인 투자를 허용하는 행정명령을 서명한 직후에 공개되어 화제를 모았다.

세일러는 자신이 고층 건물 옥상에서 월가를 내려다보는 모습의 AI 이미지를 공유했다. 석양의 오렌지빛이 비치는 맨해튼의 풍경은 비트코인을 상징하는 색조를 자연스럽게 표현하고 있으며, 이는 “비트코인의 시대가 월가를 감쌀 것”이라는 그의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그는 비트코인을 ‘디지털 금’으로 바라보며, 기업의 주요 자산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예견하고 있다.

이러한 세일러의 비전은 트럼프 대통령의 최근 행정명령에 의해 더욱 힘을 받고 있다. 해당 명령은 401(k)와 같은 기업의 퇴직연금 계좌에서 주식이나 채권, 그리고 암호화폐 등 고위험 자산에 대한 분산 투자를 가능하게 해 시장의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특히 비트코인(BTC)에 대한 명시적인 언급은 디지털 자산의 제도권 진입을 공식화하며 상당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정책 변화는 단기적으로도 기관 투자자들의 투자 흐름에 큰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과거 구조적으로 제한되었던 암호화폐 투자가 월가의 자금 흐름에 통합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세일러가 강조한 ‘오렌지색 월가’는 단순한 비유가 아닌 실제 경제 흐름을 반영한 상징으로 자리잡을 수 있다.

더불어 유명한 경제 저자이자 투자자인 로버트 기요사키(Robert Kiyosaki)도 같은 날 “채권과 주식 시장의 붕괴가 임박했다”고 경고하며 금, 은, 비트코인에 대한 투자를 강조했다. 그는 “다가오는 대공황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유일한 자산은 비트코인과 실물 자산뿐”이라며, 전통 금융체제의 한계를 비판했다. 기요사키는 비트코인을 지속적으로 매수하고 있으며, 이를 ‘부를 지키는 방패’로 언급하고 있다.

요컨대, 정책 변화와 전문가들의 우려, 그리고 상징적인 이미지와 발언들이 결합하여 비트코인이 다시 한 번 주류 금융 시장으로 진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월가가 오렌지색으로 물들 준비를 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비트코인은 지금 한 번 더 금융권의 중심으로 자리잡을 준비를 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