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세일러(Michael Saylor)는 비트코인(BTC)에 대해 가진 강한 신념을 새로운 방식으로 드러내고 있다. 그는 고대 로마에서 영감을 받은 이미지를 통해 자신을 ‘비트코인 막시무스(Bitcoin Maximus)’라고 칭하고, 고전 의상을 입고 고대 로마를 떠올리게 하는 배경 앞에서 자신이 서 있는 모습을 SNS에 공유하며 많은 이목을 끌었다.
세일러의 이러한 연출은 최근 일론 머스크(Elon Musk)의 행동과 흥미로운 상관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머스크는 지난 5월 자신의 소셜 미디어 계정을 ‘Kekius Maximus’로 바꾸면서 밈 문화를 재치 있게 활용한 바 있다. 머스크의 이 같은 행위는 많은 사람들에게 큰 파장을 일으켰다. 그러나 세일러의 접근 방식은 단순한 트렌드의 추종이 아니라 비트코인이라는 디지털 자산을 중심으로 자신이 제국을 건설하려는 의지를 드러낸다.
현재 세일러가 이끄는 마이크로스트래티지(MicroStrategy)는 최근 3,081개의 비트코인을 추가 매입하여 총 보유량이 63만 2,457개로 증가했다. 평균 매입 단가는 7만 3,527달러(약 1억 216만 원)로, 전체 투자 규모는 약 465억 달러(약 64조 6,350억 원)에 달하며, 현재 피해 기준 가치가 약 715억 달러(약 99조 3,850억 원)에 이르는 상황이다. 이는 무려 53% 이상의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비트코인을 단순한 자산으로 인식하는 것에서 벗어나 이를 기업 전략의 핵심으로 삼는 것은 드문 일이지만,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이를 핵심 가치와 방향성으로 삼아 비트코인을 적극 활용하는 기업 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세일러는 자신을 ‘디지털 제국의 수호자’로 설정하며 비트코인 중심의 세계관을 대중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세일러의 이번 퍼포먼스가 머스크와의 관계를 의식한 것인지 불확실하지만, 그는 분명히 비트코인이라는 자산이 기업 가치를 재정의할 수 있는 가능성을 널리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복잡하고 변동성이 큰 시장 속에서도 비트코인에 대한 그의 신념은 그를 한층 더 돋보이게 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전략을 통해 이 디지털 자산이 기업의 미래에 어떻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증명해 나가고 있다.
따라서 마이클 세일러는 단순한 크립토 밈 문화의 일원이 아니라, 비트코인이 주도하는 새로운 경제 모델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있어 가장 두드러지는 인물로 자리 잡고 있다. 앞으로도 그가 어떻게 비트코인을 통해 기업 가치를 재정의하고, 디지털 자산의 위상을 높여 나갈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