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루에 소주 한 병이나 500㎖ 맥주 2병을 규칙적으로 소비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출혈성 뇌졸중을 10년 이상 일찍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 연구는 미국 하버드 의대와 매사추세츠종합병원(MGH)의 에디프 구롤 박사팀이 진행했으며, 그 결과는 미국신경학회(AAN)의 저널 ‘신경학(Neurology)’에 6일 게재되었다.
연구는 2003년부터 2019년까지 매사추세츠종합병원에 입원한 평균 연령 75세의 뇌출혈 환자 1,600여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팀은 CT(컴퓨터 단층촬영)를 통해 뇌출혈의 크기와 위치를 평가하고, MRI(자기공명영상)를 통해 뇌의 미세혈관 손상 상태를 분석했다. 또한 알코올 소비량을 기준으로 하루 3잔 이상의 술을 섭취하는 사람을 과음자로 분류했으며, 이는 맥주 1캔, 와인 3잔, 위스키 3잔에 해당하며, 소주로는 약 2/3병에 해당한다. 전체 참가자 중 104명(7%)이 과음자로 분류되었다.
과음자들의 뇌출혈 발생 평균 나이는 64세로, 음주를 하지 않거나 하루 3잔 이하로 마시는 사람들의 평균 나이인 75세보다 11년 더 젊었다. 게다가 과음자들의 출혈 크기는 평균 70% 더 컸고, 심부 뇌출혈이나 뇌실로의 출혈이 발생할 가능성은 약 두 배 높았다. 또한, 과음자는 뇌 미세혈관질환에 따른 뇌 백질 손상 징후를 보일 확률이 3배 이상 높았다. 연구 결과는 하루에 두 잔 정도 음주를 한 경우에도 뇌출혈 발생 시기가 의미 있게 빨라짐을 시사했다.
구롤 박사는 과음 습관을 줄일 경우 출혈성 뇌졸중 위험을 낮출 뿐만 아니라, 뇌 미세혈관질환의 진행을 지연시켜 추가적인 뇌졸중, 인지 기능 저하, 그리고 장기적 장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음주량을 주당 3잔 이하로 줄이면 모든 형태의 뇌졸중 예방 및 심혈관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출혈성 뇌졸중은 뇌 내부의 혈관이 파열되면서 생기는 질환으로, 연구팀은 뇌출혈 환자의 최대 50%가 사망하며, 30%는 중증 장애를 겪고, 1년 후에 자립적인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환자는 20%에 불과하다는 통계를 제시했다. 특히 고위험군 환자들에게는 금주 및 생활 습관 개선이 뇌졸중 예방의 핵심 요소로 작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