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발표된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의 먹거리 물가가 1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해 서민들의 생활비 부담이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의 소비자물가 목표치는 2%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체감 물가는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통계청의 자료를 보면, 지난 7월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물가지수는 125.75(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5% 상승했다. 이는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인 2.1%를 크게 웃도는 수치로, 지난해 7월(3.6%) 이후 1년 간의 최고 증가율이다.
이번 식품 가격 상승은 이상기온 현상과 가공식품 가격 상승 등 다양한 요인에 기인하고 있다. 특히 어류 및 수산물의 물가는 7.2% 상승하여 두 달 연속 7% 이상의 상승률을 보이며 2023년 7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오징어채(42.9%), 조기(13.4%), 고등어(12.6%) 등 밥반찬으로 자주 사용되는 식품 또한 두 자릿수의 상승률을 보이는 등 식량비 증가 현상이 두드러진다. 그 외에도 빵 및 곡물은 6.6% 상승해 1년 10개월 만에 가장 큰 오른 것으로 나타났고, 쌀 역시 7.6% 상승하여 1년 4개월 만에 다시 7%대를 기록했다.
뿐만 아니라 라면(6.5%)을 포함한 가공식품들의 가격 또한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자주 소비되는 과자와 음료의 가격도 상승하고 있으며, 비주류 음료에서는 커피 및 차, 청량음료의 가격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대중교통 요금 상승도 서민들에게 추가적인 부담을 주고 있으며, 이는 공공서비스 물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수도권 지하철 기본요금이 150원 인상되면서 도시철도 이용 요금이 7.0% 상승했다. 이에 따라서 출퇴근 시 발생하는 교통비가 하루 평균 3,000원을 넘어서면서 가계의 고정비용 증가 문제를 심화시키고 있다.
정부는 하반기에 전기, 가스, 철도 요금 인상의 검토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어, 서민들의 경제적 부담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2023년 상반기 동안 중앙부처가 관리하는 공공요금 동결 방침을 지키려 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물가 상승은 정부 정책의 효과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결국, 음식물 가격 상승, 공공서비스 요금 인상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면서 서민들의 경제적 여건이 더 어려워질 전망이다. 이러한 상황은 향후 식료품 및 공공요금 정책에 대한 더 면밀한 검토와 대응이 필요함을 강조하는 지표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