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의 해양학자인 마우리시오 오요스 박사(48)가 상어 연구 도중 갈라파고스 상어에게 머리를 물리는 사고를 당한 가운데, 그의 침착한 대응 덕분에 생존할 수 있었다. 오요스 박사는 “상어 잘못이 아니다”라고 강조하며, 이는 방어적 행동이었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27일,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오요스 박사는 코스타리카 남서쪽에 위치한 코코스섬 인근 바다에서 연구 활동을 하고 있었다. 그는 스쿠버 장비를 착용하고 상어의 이동 경로를 연구하는 팀의 수석 과학자로서 상어에게 태그를 부착하는 작업을 수행 중이었다. 수심 약 39미터에 도달한 그는 길이 약 2.7미터의 갈라파고스 상어를 발견하고 태그를 발사했다. 하지만 그 순간, 상어가 1미터 거리에서 돌진하며 그의 머리를 물었다. 오요스 박사는 그 상황을 “머리 전체가 1초도 안 되어 상어 입 안에 들어갔다”며 당시의 두개골이 ‘삐걱’거리는 소리를 생생히 기억하고 있다고 말했다.
당시 상어는 그의 머리를 물었다가 곧바로 뱉어냈고, 그는 즉시 마스크가 피와 물로 가득 차고, 호흡 장비도 손상된 상황에 처했다. 시야를 잃은 그는 상어의 그림자가 멀어지는 것을 보았고, “상어가 원했다면 나를 죽일 수도 있었을 것”이라고 회상했다.
상어 이빨에 의해 상처가 난 그는 27곳의 부상이 생겼고, 이는 상어의 공격 자국과 일치했다. 호흡 장비가 고장 난 상태에서 그는 천천히 상승하여 잠수병을 피한 후, 물에 떠오른 그는 동료에게 응급처치를 받았다. 그는 근처 병원으로 이송되었고, 현재 턱 수술을 예정하고 있다.
오요스 박사와 함께 연구 중이던 알렉스 안토니우 박사는 “그는 상어의 행동을 이해하고 있었기에 일반 다이버들과는 다르게 대처할 수 있었다”며, “자연은 종종 예측할 수 없는 방식으로 반응한다”고 덧붙였다. 30년 이상 다양한 상어를 연구해온 오요스 박사는 “숨을 들이마셨지만 공기가 들어오지 않았고, 그러나 차분하게 해야 할 일을 생각했다”고 당시의 심경을 전했다. 그는 사고 당시 암컷 상어가 태그 부착에 놀라 방어적인 행동을 보인 것이라고 분석하며, “내 잘못도, 상어 잘못도 아니었다”고 소신을 밝혔다.
오요스 박사의 사건은 해양 생물에 대한 연구의 위험성을 다시 한번 일깨웠으며, 안전한 방식으로 자연과 상호작용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도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방법을 모색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