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네로(XMR), 51% 공격에 따른 입금 일시 중단…큐빅 ‘실험 공격’ 해명

[email protected]



최근 모네로(XMR) 네트워크가 51% 공격을 받으면서, 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이 해당 자산의 입금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조치를 취했다. 모네로는 익명성과 프라이버시 기능을 중시하는 플랫폼으로 잘 알려져 있기에, 이러한 사건은 모든 투자자들에게 심각한 우려를 안기고 있다. 이번 사건이 실제로 얼마나 큰 피해를 초래할지는 아직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았다.

51% 공격은 네트워크의 해시레이트 절반 이상을 단일 채굴 풀이 점유함으로써 발생했다. 이는 이중 지불 후거나 블록체인 거래 장부를 조작할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을 초래했다. 크라켄은 이 공격의 징후를 포착하고, 지난 금요일 모네로의 입금을 즉시 차단했다. 이후 크라켄 측은 “현재 해시레이트가 단일 개체에 지나치게 집중되어 있으므로, 모네로 입금에 대해 720회의 거래 확인을 요구할 것”이라며, 추가 조치로 입금 처리 지연이나 재차 중단될 가능성이 있음을 경고했다.

이번 공격의 배후에는 AI 모델 AIGarth를 운영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 큐빅(Qubic)이 있다. 큐빅팀은 자사의 블로그를 통해 이번 공격이 의도한 실험이라고 주장하며, “독자적인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해 모네로 네트워크의 보안 취약점을 보여주기 위한 조치였다”고 설명했다. 그들은 또한 모네로의 핵심 기능인 프라이버시와 속도, 사용성은 여전히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다.

모네로 측은 공식적인 반응을 선보이지 않고 있지만, 사고 직후 XMR의 가격이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현재 모네로는 개당 276달러(약 38만 3,640원)로 거래되고 있으며, 사건 발생 24시간 사이 오히려 약 4%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51% 공격의 위험성은 과거 여러 사례에서도 드러났다. 2019~2020년 동안 발생한 이더리움클래식(ETC)에 대한 이중 지불 공격에서는 600만 달러(약 83억 4,000만 원)의 손실이 발생했으며, 2018년에 비트코인골드(BTG)에서도 약 1,800만 달러(약 250억 2,000만 원) 규모의 피해가 있었다. 이처럼 과거의 사례들은 탈중앙화된 네트워크가 완전히 안전하지 않음을 상기시킨다.

최근에는 기술 발전과 블록체인 구조의 개선 덕분에 이러한 공격이 줄어들고 있다는 평가가 존재하지만, 모네로의 사건은 여전히 네트워크 보안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는 중요한 사례로 해석된다. 이 사건이 투자자들에게 미친 영향을 고려했을 때, 향후 모네로 팀이 어떤 방식으로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강화하고 신뢰를 회복할지에 대한 관심이 커질 전망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