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몽골 정부는 국제 관광객 수를 2030년까지 200만 명 이상으로 늘리고 이를 통해 국내총생산(GDP)의 10%를 관광에서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문화, 스포츠, 관광 및 청소년을 담당하는 몽골의 Nomin Chinbat 장관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이러한 ‘야심 찬 계획’에 대해 설명하며, 관광업이 GDP에 약 40억 달러를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현재 몽골의 관광이 차지하는 비율은 GDP의 3%에서 4% 사이이며, 2024년에는 808,000명의 외국인 관광객이 몽골을 방문하여 역대 최다를 기록한 바 있다. 특히 자연, 모험, 문화, 정신적 관광을 원하는 여행객들 사이에서 몽골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고 Chinbat 장관은 전했다. “관광객 수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연평균 9% 성장하고 있다. 이를 16%로 증가시키고자 한다”고 밝혀 향후 성장 가능성을 내비쳤다.
최근에는 미국 유나이티드 항공이 몽골로의 첫 직항 노선을 개설하여 이틀 전에 첫 비행이 이뤄졌으며, Chinbat 장관은 이를 ‘국가 관광 산업의 이정표’라고 평가했다. 이 노선은 매주 3회 운항하며, 도쿄를 경유해 울란바타르로 향한다. 이는 지난해 22,000명을 기록한 미국 방문객 수를 ‘최소 두 배로 늘릴 것’이라고 장관은 전망했다.
몽골의 주요 관광객들은 중국, 러시아 그리고 한국에서 오며, 이러한 나라들과의 인접성과 교류를 바탕으로 관광산업을 더욱 발전시키고자 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몽골은 도로, 호텔, 캠프 등 필요한 인프라에 약 40억 달러를 투자하고, 공공 및 민간 부문의 협력을 위해 저금리 장기 대출을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Chinbat 장관은 “관광 산업이 성장하는 만큼, 몽골의 자연자원이 지속 가능하게 관리되어야 하고, 지역 주민들이 관광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보장하는 것이 가장 큰 도전과제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노력들이 성공적으로 이뤄질 경우, 몽골은 2030년까지 관광업이 더 큰 경제 성장의 원동력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