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러 정상회담 ‘노딜’ 이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드론 공격 계속

[email protected]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15일(현지시간) 열린 미·러 정상회담이 ‘노딜’로 끝난 이후에도 서로 공격을 주고받으며 상황은 더욱 악화되고 있다. 현재의 충돌은 드론을 통한 치열한 공중전으로 전개되고 있다.

우크라이나군은 17일 러시아 동북부 보로네시 지역의 한 기차역을 드론으로 공격하였으며, 이로 인해 현지 주민 1명이 부상을 입었다고 알레한데르 구세프 보로네시 주지사는 전했다. 공격으로 인해 열차 운행이 일시적으로 중단됐으나, 오전 중에 정상화되었다고 덧붙였다.

러시아 국방부는 보로네시 상공에서 드론 9대를 요격했으며, 모스크바 서쪽 지역에서도 우크라이나 드론 46대를 파괴했다고 발표하였다. 이처럼 드론 전투가 격화되는 상황 속에서 우크라이나 공군 역시 러시아가 발사한 드론 85대 중 61대를 요격했다고 보고했다. 반면, 러시아군의 반격으로 인해 우크라이나 전역 12곳이 미사일과 드론의 공격을 받아 피해를 입었다.

지난 16일에는 남부 헤르손 지역에서 러시아군의 공격으로 인해 의료진과 경찰을 포함한 13명이 부상을 당했으며, 우크라이나군은 동북부 수미 지역에서 러시아군을 약 2㎞ 가량 후퇴시키는 성과를 거두었다고 알자지라 방송이 보도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SNS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동부 도네츠크 지역에서 러시아군의 공격을 방어한 성과를 공유하기도 하였다.

한편, 이 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알래스카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만나 전쟁 종식 방안을 논의했으나, 결론적으로 휴전 합의에는 이르지 못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후 젤렌스키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와의 접경지인 돈바스 지역을 이양해야 한다는 푸틴의 주장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며 이를 수용할 것을 압박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번 미·러 정상회담의 노딜 결과와 그 이후의 잇따른 드론 공격은 국제 사회에 큰 우려를 불러 일으키고 있으며, 각국의 외교 및 군사 전략이 위협받고 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갈등 상황은 더욱 고조되고 있으며, 향후 전개될 국제적인 대응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현재 상황은 냉전의 재연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요소가 존재하고 있어 향후 섣부른 예측은 금물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