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영국 정부가 디지털 자산 규제에 대한 본격적인 협력에 나섰다. 양국은 기존에 운영 중인 ‘미국-영국 금융 규제 실무그룹(UK-US Financial Regulatory Working Group)’의 새로운 태스크포스를 설립하고, 디지털 자산과 관련된 규제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단기 및 중기 협력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이 같은 발표는 양국 재무부가 지난 8일(현지시간) 동시에 전한 내용으로, ‘미래 시장을 위한 태스크포스(Transatlantic Taskforce for Markets of the Future)’를 발족했다. 이 태스크포스는 디지털 자산 관련 규제 체계와 더불어 도매 디지털 금융 시장의 혁신 촉진 방안을 포함한 공동 보고서를 180일 이내에 작성하여 공개할 계획이다.
보고서에서는 양국의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규제 경험을 공유하고, 두 나라의 법적 프레임워크의 차이를 해소할 전략과 최신 기술 혁신에 적합한 금융 서비스 테스트 관점에 대해 다룰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도매 금융시장 혁신 분야는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와 블록체인 기반 증권 시스템 등 실질적인 기술 활용 방안에 집중될 가능성이 높다.
미국 재무부는 “양국의 정책 및 감독 경험을 활용하여 글로벌 디지털 자산 시장의 건강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언급한 반면, 영국 측은 “효율적인 규제 공조는 책임 있는 혁신을 촉진하는 열쇠”라고 강조했다. 두 정부는 앞으로 업계 관계자 의견 청취 및 민관 협의도 진행하여, 디지털 자산 정책의 구체적인 방향성을 설정할 방침이다.
이번 협력은 미국 대선 이후 디지털 자산 정책에 변화가 예상되고 있는 분위기와 맞물려 더욱 주목받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암호화폐 친화적인 정책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운 가운데, 이번 국제 공조를 통해 다자간 규칙 설정을 주도하려는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두 나라의 협력은 글로벌 디지털 자산 시장에 대한 지속적인 규제 체계 마련과 함께, 국제적인 금융 환경 속에서 안정성과 혁신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