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 간 무역 긴장 완화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급등…공매도 청산 3,600억 원 돌파

[email protected]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긴장이 완화되면서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의 가격이 큰폭으로 상승했다. 특히 이번 급등은 대규모 공매도 포지션의 청산을 초래하며, 시장의 단기 반등에 강력한 동력을 제공했다. 시장 데이터에 따르면, 2억 5,900만 달러(약 3,600억 원)에 달하는 암호화폐 공매도가 불과 4시간 만에 청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반등의 배경에는 백악관이 최근 100% 대중(對中) 관세의 유보를 예고한 것이 큰 역할을 했다. 이러한 결정은 글로벌 시장에 충격을 주어 위험자산인 암호화폐를 포함한 자산 전반에 하락세를 가져왔으나, 미국 정부가 이를 부각하며 입장을 일부 철회하자 투자심리는 회복됐다. 특히 이더리움은 이날 하루 동안 최고 4,151달러(약 5,769만 원)로 상승하며 시장 상승세를 이끌었다.

공매도의 청산은 주로 대형 거래소에서 발생했다. 가장 많은 청산 금액을 차지한 거래소는 바이낸스로, 전체 청산 금액의 약 30%를 기록했다. 뒤를 이어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와 바이비트(Bybit)가 각각 21%, 19%라는 수치를 기록하며 대규모 청산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는 생각보다 빠르게 반등한 가격으로 인해 최근 하락에 베팅했던 공매도 세력이 큰 손실을 확정 지은 결과이다.

앞서 10월 10일에는 하루 만에 약 170억 달러(약 23조 6,300억 원) 규모의 암호화폐 포지션이 시세 붕괴로 청산되었으며, 당시 알트코인들은 일제히 50% 이상의 급락을 경험해 큰 충격을 안겼다. 그러나 이번 상황은 전혀 다르게 진행되었고, 미국 정부의 정책 변화와 지정학적 리스크의 완화가 이 같은 시장 반전을 일으킨 주된 원인이다. 그로 인해 대규모 공매도의 청산이 더욱 가속화된 상황이다.

이번 반등이 단기 조정 후의 강세장으로 이어질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대규모 청산과 지정학적 불확실성의 감소는 투자자들의 리스크 선호 심리를 자극할 가능성이 크다. 앞으로의 시장은 미국과 중국 간의 외교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으로 예상되며, 암호화폐 가격의 변동성도 이에 따라 크게 움직일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무역 긴장이 완화된 상황에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급등은 단순히 가격의 변화에 그치지 않고, 향후 투자 환경의 방향성과도 밀접하게 연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추후 시장의 흐름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