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열린 2025 매일경제 가상자산 콘퍼런스에서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국내 스테이블코인의 도입 방안’을 주제로 발표하며, 스테이블코인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황 연구위원은 “스테이블코인은 디지털 결제 수단이자 통화주권 유지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다”라며, 이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을 밝혔다. 특히, 현재 유통되는 다수의 스테이블코인이 달러(USD)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어 한국의 스테이블코인 도입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하게 어필했다. 그는 한국이 달러 의존도를 낮추고 자국 통화정책의 유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라도 스테이블코인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황 연구위원은 스테이블코인 관련 법안에 대한 자본금 요건과 관련된 논란에 대해서도 의견을 밝혔다. 그는 자본금의 수준 자체가 핵심이 아니며, 인가를 부여받는 조직이 실제로 스테이블코인 발행사가 안정적으로 사업을 운영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용자 보호를 위한 다양한 조치들이 반드시 시행되어야 한다는 황 연구위원의 관점도 놓칠 수 없다. 그는 스테이블코인 사용자 보유 잔액에 대해 발행사의 상환 의무를 명문화해야 하며, 발행 및 소각 원리를 사용자와 당국에 명확히 알릴 의무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블록체인 분야의 두 전문가가 손잡고 스테이블코인 기술 발전에 관한 대담을 진행했다. 오픈애셋 김경업 대표와 제타체인 한국 대표 임원형은 스테이블코인이 기술적으로 얼마나 발전했으며, 그로 인해 금융 생태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논의했다. 김 대표는 “블록체인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글로벌 금융망이 확립되고 있는 지금,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도입하지 않겠다는 것은 미래 금융에서 원화를 제외하겠다는 것과 다를 바 없다”라고 경고하며, 스테이블코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임 대표는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도입이 이루어진다면 금융 상품에 대한 혁신도 기대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전 세계 어디든 송금이 가능하게 되어 미국 부동산 토큰 등 글로벌 실물연계자산(RWA)에 직접 투자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가상자산 산업의 발전과 함께, 원화를 기반으로 한 스테이블코인의 도입은 한국 금융 시스템의 글로벌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는 기회라는 점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스테이블코인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그 도입 필요성에 대한 전문가들의 견해가 모아지면서,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개발과 확대가 새로운 금융 시대를 여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