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새로운 세금 규정, 유럽과 한국서 배송 중단 초래

[email protected]



미국의 새로운 세금 규정이 발효되면서, 유럽의 여러 우편기관과 한국에서 미국향 소포 배송이 중단되거나 제한되고 있다. 특히 영국, 벨기에, 독일 등 16개 유럽국가의 우편기관은 이 규정으로 인해 미국행 배송을 임시 중단할 예정이다. 유럽 국가우편사업자협회는 현재 미국의 세금 규정에 대한 불확실성과 준비 부족으로 이러한 결정을 내렸다고 전했다.

영국의 로열메일은 26일부터 기존 배송 서비스를 종료하며, 28일부터는 새로운 세금 체계에 맞춰 배송을 재개하겠다고 발표했다. 벨기에의 비포스트는 지난 23일부터 미국행 발송을 멈추고 새로운 시스템 구축에 착수했다. 독일 도이체포스트도 지난 22일부터 미국행 배송을 일시 중단하였으며, 프랑스, 그리스, 오스트리아 등 여러 북유럽 국가들의 우편 당국도 배송 차질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

한국 우정사업본부 역시 오는 25일부터 미국행 항공 소포 배송을 중단하고, 26일부터는 관세가 없는 서류를 제외한 모든 국제 특급 우편 서비스(EMS) 접수를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앞으로는 민간 업체인 UPS와 연계한 ‘EMS 프리미엄’ 서비스만 이용할 수 있으며, UPS는 자체 통관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문제가 없으나 전반적인 비용의 상승이 우려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말 행정명령을 통해 디 미니미스(De Minimis) 면제를 공식 철회하였다. 미국 정부는 원래 800달러 이하의 소액 소포에는 관세를 부과하지 않았으나, 이 제도가 중단될 예정이다. 이제부터는 테무, 쉬인과 같은 중국에서 출발하는 소포에도 같은 규제가 선제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오는 29일부터는 서류 및 서신 등을 제외한 모든 국제 우편물에 대해 신고 및 15%의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다.

한편, 악시오스에 따르면 작년 미국에 도착한 소포 중 디 미니미스 규정이 적용된 제품은 약 13건으로, 이 가운데 대략 60%가 중국발 소포였다고 한다. 이러한 상황은 유럽과 한국의 물류 시스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각국 우편기관은 새로운 규정에 대한 대응 방안을 강구하고 있는 중이다. 소비자들 또한 배송 서비스의 변화에 따라 대체 배송 방법을 모색해야 할 시점에 놓여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