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공화당 의원들, 지역구 여론 반영 어려움 겪으며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신중한 태도

[email protected]



트럼프 대통령이 주도하는 관세 정책으로 인해 미국 공화당 의원들이 곤란한 입장에 처하게 되었다. 이들은 지역구 기업의 무역 관련 불만과 백악관의 압박 사이에서 조화를 이루기 위해 애쓰고 있으나, 정치적 결정에는 어려움이 따른 것으로 보인다.

최근 발표된 월스트리트저널의 보도에 따르면, 상호 관세 부과로 영향을 받은 미국 기업들은 의회에 자신들의 목소리를 전달하고 있지만, 공화당 의원들은 이 문제에 대해 공감하면서도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는 상황이다. 특히, 무역에 민감한 유타주 대표단은 워싱턴DC에서의 회의 중 관세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해 달라고 요청했으나, 해당 의원들은 표결에서 반대표를 던지는 등 예상 외의 대응을 드러냈다.

사례로 언급된 존 커티스(공화당·유타) 상원의원은 유타주의 농업, 임업, 광업 등 무역 중심 산업의 대표들과 만나 긴급 권한 종료를 위한 초당적 결의안에 찬성할 것이라는 약속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최종 표결에서는 반대하였고, 결국 결의안은 49대49로 부결되었다. 이런 입장 변화는 공화당 지도부의 압박과 함께 표결 직전 미무역대표부(USTR)와의 면담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비슷한 상황은 다른 의원들에게서도 관찰된다. 블레이크 무어(공화당·유타) 하원의원은 반관세 법안 발의를 한때 고려했으나, 이후 관망적 태도로 돌아서며 “행정부의 협상 진전을 기쁘게 생각한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리사 매클레인(공화당·미시간) 의원 또한 지역구를 순회하면서 업계의 불만을 전달했으나, 관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가을 회기에 다시 한번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를 제한하는 법안을 발의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론 와이든(민주·오리건) 상원의원은 공화당 측 의원들에게 비공식 자리에서 뿐만 아니라 행동으로 나서주기를 촉구하며 압박을 가했다. 이러한 정치적 상황은 앞으로의 법안 통과 여부나 대통령의 정책 지속 여부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결과적으로, 공화당 의원들은 지역구의 경제적 우려를 반영하고자 하지만, 백악관의 정책에 대한 유연성을 유지해야 하는 복잡한 입장에 놓여있다. 이는 향후 무역 정책에 대한 다양한 논의와 함께 의원들의 정치적 행보가 어떻게 변화할지 주목해야 할 이유가 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