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극우 활동가 찰리 커크가 피살된 사건에 대한 사회적 파장이 일고 있는 가운데, 미국 국무부는 커크에 대해 부정적인 발언을 한 외국인들의 비자를 취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커크가 피살된 이후 약 2주간 미국 당국자들은 그의 죽음을 축하하거나 농담한 공개 발언을 수집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대중의 협조를 요청하고 있다.
마르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은 지난 21일 애리조나주에서 열린 커크의 추모식에서 “미국은 자국 시민의 죽음을 축하하는 외국인을 환영하지 않을 것”이라며 비자 취소가 진행 중임을 경고했다. 그는 “정치적 인물의 공개 암살에 환호한다면 영구 추방을 준비하라. 당신은 이 나라에서 환영받지 못한다”고 강조했다. NYT는 국무부 관계자를 인용해 브라질의 국회의원, 멕시코의 정치 평론가, 남아프리카의 언론인 등 수십 명이 미국 입국 금지 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하여 크리스토퍼 랜도우 미국 국무부 부장관이 비자 취소 조치를 주도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랜도우 부장관은 커크 피살 이후 SNS를 통해 “이 사건을 찬양하거나 합리화하는 발언을 제보해 달라”고 요청하였다. 이후 다양한 신고가 접수되었고, 랜도우 부장관은 자신을 슈퍼히어로로 묘사한 이미지를 통해 “비자를 빼앗는 자”라는 의도를 드러내기도 했다. 그 이미지에는 미국 정부의 문장이 새겨진 야구 방망이와 레이저를 쏘는 모습이 담겨 있어 논란을 일으켰다.
특히, 남아프리카의 한 언론인은 SNS에서 “커크의 죽음은 총기 소유 권리를 위한 대가로 봐야 한다”며 부정적인 발언을 하였다가 랜도우 부장관에 의해 신고되었고, 멕시코의 집권당 대변인도 커크의 피살에 대해 “총기 소지 찬성으로 자초한 일”이라고 언급해 신고 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발언들은 실제로 비자 취소 조치의 근거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사건은 미국 내에서의 정치적 분열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으며, 미국 정부가 사회적 반응에 민감하게 대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앞으로의 조치가 어떻게 진행될지, 그리고 이것이 국제 사회와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