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암호화폐 업계는 최근 몇 년 동안 지속적으로 은행 계좌 폐쇄와 금융 서비스 거부 사례가 증가해 왔으며, 이는 정부의 디지털 자산 억제 정책으로 간주되는 ‘디리스킹’의 맥락 안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지적은 ‘작전 초크포인트 2.0(Operation ChokePoint 2.0)’이라는 용어로 표현되며, 업계 관계자들은 이를 비판하고 있다.
전직 트럼프 대통령이 친(親) 암호화폐 성향을 보였던 만큼, 대선 이후 많은 업계 관계자들은 이러한 ‘디뱅킹(debanking)’ 조치가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를 가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유세에서 디지털 자산의 발전 잠재력을 강조했으며, 이에 따라 암호화폐에 대한 금융기관의 규제가 완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타났다.
하지만 최근의 상황은 이러한 기대와는 반대로 계속되고 있다. 지난주, 안드레센 호로위츠의 파트너인 알렉스 램펠은 “대형 은행들이 핀테크 및 암호화폐 앱에 대해 수수료를 인상하며 ‘작전 초크포인트 3.0’을 시행 중”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특정 플랫폼인 코인베이스와 로빈후드와의 자금 이체 또는 계좌 연동에 대해 부과되는 높은 수수료가 경쟁을 억제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대한 우려는 유니코인(Unicoin)의 알렉스 코나니킨 대표의 목소리에서도 발견된다. 그는 코인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내 은행들이 아무런 설명 없이 암호화폐 기업의 계좌를 폐쇄하는 일이 여전히 벌어지고 있다”고 언급하며, 유니코인 및 그 소속 기업들이 다섯 개 은행과의 거래를 잇따라 종료하였다고 주장했다. 폐쇄를 당한 은행으로는 씨티은행, 체이스, 웰스파고, 플로리다 시티 내셔널 뱅크, TD뱅크가 포함된다.
코인텔레그래프는 이들 은행에 공식 입장을 요청했지만, 응답은 없었다. 디지털 자산에 대한 정치적 분위기가 변화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금융기관의 정책은 여전히 변화가 없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이는 암호화폐 산업에 대한 정부의 친화적인 정책만으로는 디뱅킹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음을 시사하고 있다.
앞으로 암호화폐 업계가 이 같은 은행의 디뱅킹 조치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가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할 시점이다. 업계의 전문가들은 정부와 금융기관 간의 소통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실질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