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 증시가 5일(현지시간) 일제히 하락세로 마감했다. 7월 서비스업 지표의 부진이 경기 둔화 우려를 재점화했으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한 관세 발표를 다음 주로 예고하면서 투자 심리가 위축되었다.
블루칩 중심의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61.9포인트(0.14%) 하락한 44,111.74로 장을 마쳤고,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30.75포인트(0.49%) 하락한 6,299.19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37.03포인트(0.65%) 하락한 20,916.55로 거래를 마감했다.
최근 고용 지표 악화로 인해 9월 금리 인하 기대가 높아지던 가운데, 하루 만에 부진한 서비스업 지표가 증시에 악영향을 미쳤다. 미국 공급관리협회(ISM)가 발표한 7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0.1로 전월(50.8)보다 0.7포인트 하락하며, 시장 전망치인 51.5를 하회하였다. 기준선인 50을 넘어 여전히 경기 확장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수요 둔화와 비용 상승이 서비스업 고용을 위축시키고 있어 이번 지표는 경기 침체 우려를 다시 불러일으켰다.
르네상스 매크로 리서치의 닐 두타 매니징 디렉터는 “고용이 둔화되고 있다면 물가 상승 압력이 지속될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가계가 물가 상승을 흡수할 만큼 수요가 충분히 강력하지 않다”고 언급하며, 선제적인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언도 시장에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했다. 대통령은 CNBC 인터뷰에서 “반도체와 칩에 대해 별도의 관세 발표를 할 것이며, 의약품에 대해서도 관련 방침을 재확인했다”고 전했다. 그는 의약품에 대해 “소액 관세”를 시작으로 1년에서 1년 반 사이에 최대 150%, 이후에는 250%까지 관세를 인상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예상했던 200%보다도 더 높은 수준으로, 미국 내 수입품에 대한 관세 실적이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시장 분석가들은 당분간 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것을 예고했다. 울프 리서치의 크리스 세넥 투자 전략가는 “금리 정책의 경로가 여전히 불확실하고, 시장은 경제 지표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고 말하며, 여름이 끝날 무렵 더욱 불안정한 거래가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와 함께 미국 채권시장은 단기물 중심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채권 금리의 벤치마크인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전 거래일 수준인 4.2%를 기록하고 있으며, 통화정책에 민감한 미 국채 2년물 금리는 3bp 오른 3.72%에 거래되고 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인공지능(AI) 기반 소프트웨어 업체 팔란티어가 있으며, 이 회사는 분기 매출이 처음으로 10억 달러를 돌파하여 7.85% 상승했다. 미 중장비 업체인 캐터필러는 실적 부진에도 0.12% 상승했지만, 엔비디아는 0.97% 하락하며 부정적인 영향을 받았다. 이날 미 법무부는 엔비디아의 첨단 AI 칩 ‘H100’이 불법으로 중국에 반출된 사건에 대해 관련 수사를 진행했다고 디벨롭했다.
투자자들은 주요 기업의 실적 발표에도 주목하고 있으며, S&P500 기업 중 약 370개 기업이 실적을 발표하여 이들 중 81%가 시장 기대치를 상회했다고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