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 증시의 3대 지수는 6일(현지시간) 일제히 상승하며 거래를 마감했다. 애플이 미국에 1000억 달러를 추가 투자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시장 투자 심리를 크게 자극했다. 이날 다우지수는 81.38포인트(0.18%) 상승한 4만4193.12로 마감했으며, S&P500지수는 45.87포인트(0.73%) 오른 6345.06, 그리고 나스닥지수는 252.87포인트(1.21%) 상승한 2만1169.42로 거래를 마쳤다.
애플의 대규모 투자 계획 발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밝힌 것으로, 4년 동안 총 6000억 달러로 확대되는 미국 내 투자 계획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제조업 부흥 정책과 관련된 결정이며, 애플이 아이폰 생산을 해외에서 계속하도록 두면 25% 이상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경고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이날은 애플의 영향 외에도 전반적인 기업 실적이 양호한 흐름을 보인다. 시장조사기관 팩트셋에 따르면 S&P500 편입 기업 중 81%가 시장 예상치를 초과하는 실적을 발표했다. 이토로의 브렛 켄웰 미국 투자 분석가는 현재의 투자 환경에서 기업 실적이 주요한 촉매제로 작용하고 있다고 강조하며, 다소 우려되는 경제적 요인도 오히려 매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산 석유를 수입하는 인도에 대해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였다. 이 명령은 인도가 러시아산 석유를 직간접적으로 수입하고 있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며, 이번 조치는 21일 이내에 시행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인도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대한 총 관세는 50%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무역 협상이 지연되고 있는 인도에 대한 압박의 일환으로 해석되며, 동시에 러시아와의 관계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의 평화협정 체결을 촉구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평가된다.
관세 문제에 대한 시장의 반응은 비교적 차분한 편으로, 심플리파이 에셋 매니지먼트의 마이클 그린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이러한 관세가 미국의 수입자와 주요 수출국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전반적인 시장 분위기가 진정되고 있다고 밝혔다.
종목별로 살펴보면, 애플은 5.1%의 급등세를 보였으며, 테슬라(3.62%), 엔비디아(0.65%) 등도 상승했다. 맥도널드는 2분기 깜짝 실적 발표 후 3.03%의 상승폭을 보이며, 월트디즈니는 매출이 예상보다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순이익은 Prognosis을 초과하면서 2.66% 하락했다. 반면, 스냅과 AMD는 각각 17.15%와 6.42%의 급락을 기록하며 실적 시장의 차별성을 드러냈다.
미 국채 금리 또한 장기물 중심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10년물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3bp 올라 4.23%를 기록 중이다. 통화 정책에 민감한 2년물 금리는 3.71%선을 유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