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로이터통신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반도체 관세 부과가 지연될 가능성이 크다는 보도를 하였다. 복수의 소식통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의 관계자들이 정부 및 민간 산업계의 이해관계자들에게 반도체 관세의 부과 시기가 늦춰질 수 있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월 6일에 반도체와 집적회로에 약 10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고, 8월 15일에는 다음 주에 관세를 설정할 것이라고 예고하였다. 하지만 현재까지도 반도체 관련 관세 발표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중국을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와 물가 상승 우려가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있다.
복수의 소식통에 의하면, 트럼프 행정부는 반도체 관세 부과에 있어 신중한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다고 한다. 특히 미중 간의 무역 전쟁이 다시 격화될 가능성과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로 인해 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질 것을 염려하고 있다. 반도체 관세가 도입되면 전자제품의 가격이 상승할 수 있으며, 이는 미국의 연말 최대 쇼핑 시즌을 앞두고 물가 인상 압박을 가중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최근 지방선거에서 공화당이 패배하고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이 하락한 것도 물가와 관련이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그러나 백악관과 상무부는 반도체 관세 관련 정책에 변화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쿠시 데사이 백악관 부대변인은 국가 및 경제 안보에 필수적인 제조업을 미국으로 되돌리기 위해 모든 행정 권한을 활용하겠다고 강조하며, 이에 반하는 내용의 보도는 ‘가짜뉴스’라고 반박하였다. 또한, 미 상무부 관계자도 반도체 관세와 관련된 정책에는 변화가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사실상 반도체 관세가 언제 도입될 것인지에 대한 명확한 언급은 없었으며, 소식통들은 행정부의 승인 전까지는 어떤 결정도 최종적인 것이 아니며, 언제든지 세 자릿수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한편, 최근 한미 정상회담에서 발표된 공동 설명자료는 향후 미국이 한국을 포함한 다른 나라들에 비해 불리한 대우를 하지 않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다만 비교 대상은 반도체 교역량이 한국을 초과하는 국가로 한정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