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법무부가 암호화폐를 통한 대규모 투자 사기 사건에 본격적으로 조사에 나섰다. 7월 23일(현지시간) 워싱턴주 서부 연방검찰청은 석유 및 가스 저장시설에 투자하는 금융 사기에 연루된 약 710만 달러(약 98억 9,000만 원)의 암호화폐 자산 몰수를 위해 민사 소송을 제기했다. 이는 2022년부터 2년에 걸쳐 고수익 보장형 투자 상품을 미끼로 개인 투자자들을 현혹시켜 수천억 원을 갈취한 사건의 일환이다.
이번 조사는 국토안보수사국(HSI)이 주도하며, ‘에스크로 트릭’ 기술을 활용한 이중 사기 수법을 사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사기 조직은 투자자들에게 자금을 오일 저장탱크 구매에 사용한다고 주장하며 신뢰를 쌓은 뒤, 투자금이 입금되자 모든 연락을 끊고 잠적으로 돌아섰다. 피해자들의 자금은 미국을 넘어 여러 다른 은행 및 암호화폐 지갑을 통해 81개 이상의 계좌로 분산 이체됐고, 이 과정에서 상당 금액이 비트코인(BTC), 테더(USDT), USD코인(USDC), 이더리움(ETH) 등 다양한 암호화폐로 전환되어 주요 거래소인 바이낸스 등으로 송금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까지 확인된 피해 금액은 총 9,700만 달러(약 1,349억 3,000만 원)에 달하며, 몰수 대상 자산은 전체 피해액의 일부에 불과하다. 특히 당국은 러시아와 나이지리아에 위치한 거래소를 통한 자금 세탁 정황도 포착했다. 이러한 국가들은 테러조직이나 국제 제재 위반 조직의 돈세탁 허브로 지목된 바 있으며, 피해자들의 자금도 이 경로를 통해 해외로 유출된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번 사건의 주요 공모자로 지목된 제프리 K. 아우영은 지난해 8월 이미 기소되어 있으며, 그가 운영하던 은행 계좌에서 230만 달러(약 31억 9,000만 원)가 압류된 상태다. 이번에 몰수된 710만 달러의 암호화폐를 포함한다면 정부는 피해자들에게 일정 부분 보상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미국 연방검찰은 “피해 회복 가능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신속한 추적 및 압류 작업을 시행하였으며, 향후 법원의 승인과 함께 해당 자산이 피해자들에게 반환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까지 수십 건의 피해 사례가 접수되고 있으며, 그 피해 금액은 약 1,790만 달러(약 249억 1,000만 원)에 달하며 앞으로 더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사건은 암호화폐를 통한 자금의 유통이 사기 수법의 은폐와 국제 자금세탁에 악용될 위험성을 다시 한번 드러낸 사례로, 미국 당국의 글로벌 추적 역량과 수사 협조 체계의 중요성을 부각시킨 것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