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법원, 리브라(LIBRA)의 USDC 자산 동결 해제…토큰 가격 393% 급등

[email protected]



미국 법원이 리브라(LIBRA)와 관련하여 동결해 두었던 약 5,700만 달러(약 793억 원) 상당의 USD코인(USDC) 자산을 해제하면서, 리브라 토큰의 가격이 하루 만에 무려 393% 급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번 법원 결정은 해당 자산을 보유하던 헤이든 데이비스와 벤 차우가 자금을 은닉하거나 이전하지 않았다는 점이 확인되면서 내려진 것이다. 이로 인해 리브라를 둘러싼 소송이 여전히 진행 중임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의 투기 심리는 다시 고개를 들었다.

뉴욕 남부지방법원의 제니퍼 L. 로션 판사는 동결 조치 해제의 정당성이 없다고 판단하며, 피고인들이 기존 재판부 명령을 준수하고 자산을 이동하거나 숨기려는 정황이 없다고 밝혔다. 이번 소송은 리브라의 붕괴로 인해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는 투자자들이 1억 달러(약 1,390억 원) 이상의 손해배상을 요구하며 지난 5월 제기한 집단 소송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다.

동결된 자산은 맴코인 프로모터로 알려진 헤이든 데이비스와 거래소 메테오라(Meteora)의 전 CEO 벤 차우가 관리하던 두 개의 지갑에 저장되어 있었다. 또한 메테오라 내부에서는 데이비스와의 협업을 둘러싼 갈등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그는 여전히 주요 자산을 관리하고 있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차우 측 변호인은 이번 소송을 “검증되지 않은 주장”이라며 향후 기각 신청을 통해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법원의 결정 직후 리브라 토큰은 급격한 반등을 보이며 24시간 만에 393% 상승했으며, 일주일 기준으로도 409%를 웃도는 상승률을 기록했다. 현재 리브라는 약 0.043달러로 거래되고 있으며, 하루 거래량은 7만 달러(약 9,730만 원)에 불과하지만, 이러한 급격한 가격 변동성 덕분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다시 한번 집중되고 있다.

리브라는 출시 직후 아르헨티나의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의 삭제된 SNS 메시지를 통해 정부 지원을 시사하며 시가총액이 45억 6,000만 달러(약 6조 3,384억 원)에 달했으나, 곧바로 가격이 97% 이상 폭락하며 붕괴한 바 있다. 이후 내부 사기 정황이 드러나면서 리브라 프로젝트의 신뢰도는 크게 흔들렸다.

이번 자산 해제 결정은 투자자들 사이에서 기대감보다는 회의감을 더욱 고조시키고 있다. 법원이 동결 조치를 철회한 것이 자산 소유 문제나 피고인의 범죄 사실 여부와 무관하다는 점에서 법정에서 진행 중인 리브라 프로젝트에 대한 면밀한 심사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당분간 리브라는 단기적 투자 기회를 노리는 투기성 움직임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크지만, 이러한 단기적인 활황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소송과 신뢰 회복이라는 어려운 과제가 여전히 앞에 놓여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