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비트코인(BTC)을 공식적으로 재무 준비 자산으로 인정하게 되면서 암호화폐 시장이 다시 한번 강한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결정은 지난 3월 행해진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기초한 ‘전략적 비트코인 비축 계획’의 연장선으로 해석할 수 있다. 마이클 세일러(Michael Saylor) 마이크로스트래티지 공동 창업자는 미국 정부의 이번 발표를 환영하며, 트위터를 통해 “미국이 드디어 비트코인을 재무 준비 자산으로 인정했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 재무장관은 미국 정부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 20만 개의 비트코인을 기반으로 전략 비축을 시작할 것이라는 성명을 발표했다. 현재 비트코인의 시세를 고려할 때, 이 비트코인은 약 2조 6,930억 원에 달하며, 추가적으로 예산중립적인 방식으로 비트코인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와 함께 “미국을 세계 최고의 비트코인 강국으로 만들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공약도 재차 언급했다.
그러나 이전에 베센트 장관은 “정부는 새로운 비트코인 구매 계획이 없다”고 언급한 바 있어, 이번 발표에 대한 일관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있다. 아담 백(Adam Back) 해시캐시 개발자는 과거 발언이 단순한 실수일 수 있으며, 비트코인 추가 매입을 위한 정치적 ‘명분 쌓기’라는 전략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예산을 아껴 어딘가에서 비용을 절감했으니 새로 쓰는 것도 괜찮다고 설득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하며, 정부의 메시지가 반대 여론을 피하기 위한 것이라는 시각을 제시했다.
이번 발표는 단순한 정책적 선언을 넘어 비트코인이 국제 금융 시스템에서 제도권 자산으로 편입되는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미국 정부의 입장 변화가 글로벌 암호화폐 산업의 지형을 크게 변화시킬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특히 중앙은행 및 기관 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을 전략 자산으로 바라보는 경향은 더욱 뚜렷해질 것으로 보인다.
비트코인의 전략적 비축을 통해 미국 정부는 새로운 경제 질서 속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세계적으로 비트코인을 제도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전망이다. 이러한 변화는 암호화폐 업계 전체에 깊은 영향을 미칠 것이며, 향후 비트코인의 가치와 시장 흐름에도 중대한 변수가 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