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소비재 시장의 회복세…9월 노동절 특수 기대감 조성

[email protected]



미국 소비재 시장이 다시 살아나고 있으며, 특히 9월 노동절을 맞이해 소비자 심리가 개선되고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대표 상장지수펀드(ETF)인 SPDR S&P Retail은 올해 초부터 4월 초까지 -22% 감소세를 기록했으나, 최근에는 소비심리의 회복에 힘입어 뚜렷한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 28일 기준 SPDR S&P Retail의 주가는 85.31달러에 이르며, 최근 한 달간 상승률은 4.53%에 달한다.

국내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에서 상장된 타이거미국소비트렌드액티브 ETF는 6개월 수익률이 -3.23%에 그치고 있지만, 최근 3개월 동안에는 5.79%의 수익률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소비자들이 지출을 늘리고 있음을 나타낸다.

올해 초,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시장에서는 소비 콘텐츠의 붕괴 가능성이 제기됐고, 관련 주가들이 급락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요 기업들의 실적은 다소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특히 월마트는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한 1774억 달러(약 246조원)에 달했다. 이는 미국 경제의 안정성을 시사하는 지표로, 소비자들이 계속해서 지출을 이어가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해석된다.

또한, 최근 발표된 경제지표에 따르면, 7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5% 증가하며 예상치에 부합했다. 이는 인플레이션이 지속되고 고용 둔화 우려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이 여전히 소비를 이어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가오는 노동절 연휴를 맞아 대규모 할인 행사들이 예고되고 있어 소비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더욱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기술적인 관점에서도 최근 상승세의 지속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판단하고 있다. 현재 SPDR S&P Retail은 S&P500 지수의 상승 폭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으며, 전체 지수는 연초 대비 10% 상승했으나 SPDR S&P Retail은 8% 상승에 그쳤다. 이에 따라 르네상스 매크로 리서치는 SPDR S&P Retail이 83달러 선을 넘어선 현재, 90달러를 새로운 목표로 설정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품목별로는 자동차 및 부품, 크루즈, 호텔 및 카지노 관련 기업들이 긍정적인 전망을 받고 있으며, 레스토랑 산업은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조심스러운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미국 소비재 시장은 앞으로도 긍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하며, 노동절 특수에 따른 소비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