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쇠고기 등 200종 농축산물에 대해 관세 철폐…호주·뉴질랜드·인도 환영

[email protected]



미국이 쇠고기를 포함한 200여 종의 농축산물에 대한 상호관세를 철폐한 결정에 대해 호주, 뉴질랜드, 인도 등의 관련 수출국들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며 수출 확대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장바구니 물가를 낮추기 위한 조치로 이 행정명령에 서명했으며, 이에 따라 호주 외교부 장관 페니 웡은 “관세 철폐를 환영한다”며 호주산 쇠고기 생산업체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4일 쇠고기, 커피, 토마토, 바나나 및 파인애플, 견과류, 향신료 등 다양한 농축산물의 상호관세를 면제하는 내용을 포함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에 따라 호주는 미국에 연간 15만에서 40만 톤의 쇠고기를 수출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약 44억 호주달러에 달하는 수출 성과를 거두며 주요 수출국으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호주산 쇠고기는 패스트푸드 체인 등에서 인기가 높아 그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호주가 미국산 쇠고기에 대한 수입을 충분히 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으며, 이를 계기로 호주는 2003년부터 시행했던 미국산 쇠고기 수입 제한을 완화했다. 뉴질랜드의 통상부 장관인 토드 매클레이는 이번 관세 철폐가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첫걸음이라고 강조하며, 최근 몇 달 간 불확실성과 높은 비용에 직면했던 뉴질랜드 농산물 수출업체들에게 큰 반향을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전했다.

인도 역시 같은 맥락에서 관세 철폐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 수출기업연합회(FIEO) 사무총장은 이 조치로 인해 프리미엄 및 특수 고부가가치 상품의 대미 수출 기회가 확대될 것이라고 말하며, 연간 25억에서 30억 달러 규모의 수출이 혜택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인도의 차, 커피, 향신료, 캐슈너트 등 주요 수출품은 지난 8월부터 50% 증가한 상호관세 부담으로 인해 상당한 타격을 받았고, 이 영향으로 9월의 대미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약 1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치는 전 세계 농축산물 시장에 상당한 변화를 예고하며, 각국의 수출업체들에게 새로운 기회의 창을 열어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국제 시장에서의 경쟁력도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