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행정부가 수입 가공 목재에 대해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새로운 조치를 발효했다. 이번 조치는 14일 오전 0시(한국 시간 기준으로 오후 1시)부터 시행되며, 수입된 소파 및 화장대와 같은 천으로 덮인 가구, 주방 찬장 등에 대해서는 25%의 관세가 적용된다.
이 조치는 수출 국가가 올해 내에 미국과 무역 협정을 체결하지 않을 경우, 2026년 1월 1일부터 천으로 덮인 가구는 30%, 주방 찬장과 세면대는 50%로 관세가 상승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다만, 이미 협상을 마무리한 영국의 경우, 목제품에 대해서는 10%의 관세가 부과되며 유럽연합(EU)과 일본은 세율이 15%를 넘지 않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이와 관련된 포고문에 서명하면서 이 조치가 목재 산업의 공급망을 강화하고, 산업 회복력을 높이며,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국내 설비 활용도를 높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미국에 많은 양의 목재를 수출하는 캐나다가 이번 조치의 주요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또한, 이미 침체기에 접어든 미국의 주택 구매 시장도 추가적으로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이번 관세 증가가 가구 및 건축 자재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미국의 많은 소비자들이 가구와 건축 자재에 대해 가격 인상을 겪게 될 것이며, 이는 결국 소비자에게 전가되어 주택 구매 시장의 활성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국 내에서 저렴한 가공 목재 및 가구를 찾는 소비자들이 더 높은 가격에 직면하게 될 것이므로, 초기 판매와 소비자 수요에 부정적인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주택 시장의 경쟁력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주택 건설과 관련된 업계 종사자들에게는 고용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으며, 목재 가격 상승이 궁극적으로 주택 구입 비용에 부담을 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조치는 목재산업에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으며, 미국 내 여러 경제 부문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향후 미국 정부의 추가적인 무역 정책 변화에 따라 이러한 상황이 어떻게 변화할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