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식품업계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 수산물과 채소, 과일 등 주요 식품 품목에 대한 관세 면제를 촉구하고 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의 보도에 따르면, 수산물 무역 조합인 미국수산협회(NFI)의 개빈 기븐스 최고전략책임자는 “수산물은 다른 식품과 본질적으로 차별화되어 있다”며 전량 면제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미국의 경우, 수산물 소비량의 85%를 해외에서 조달하고 있으며, 특히 새우의 경우 전체 소비량의 90%가 수입되고 있다. 그중 3분의 1은 인도에서 수입돼, 관세가 부과될 경우 가격 인상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처럼 높은 의존도를 나타내는 가운데, 미국 내 어획량은 지속 가능한 최대 생산량에 도달해 더 이상 증가할 여지가 없고, 규제로 인해 양식업 확장도 제한받고 있다. 이에 따라 2022년 미국의 수산물 무역 적자는 240억 달러에 달하는 심각한 상황이 발생했다.
농산물 무역단체인 국제신선농산물협회(IFPA)의 레베카 애드콕 대관 담당 부회장은 관세 논의에서 과일과 채소는 제외해달라고 요청했다. 현재 미국의 과일·채소 수입액은 360억 달러에 이르며, 이들은 주로 멕시코, 페루, 캐나다 등지에서 수입되고 있다. 특히 월마트와 슈퍼마켓 체인 앨버트슨을 회원사로 둔 식품산업협회(FMI)는 보고서에서 오이와 같은 특정 농산물의 경우 수입 비율이 1990년 35%에서 현재 90%로 급증했다고 언급하며, 이를 국내에서 모두 생산할 경우 온실재배가 필수라면서 높은 가격이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전미요식업협회(NRA)는 미국에서 제철에만 재배되는 신선 식재료에 관세가 부과될 경우 음식 가격의 급등이 우려된다고 지적하며, 음식 및 음료 제품은 미국이 적자를 보지 않는 품목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관세 면제를 희망하고 있다. 그러나 법조계의 의견에 따르면 관세 감면을 위한 공식적인 신청 절차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관세 면제는 실제로 이루어지기 어려울 것이라는 예측도 제기되고 있다.
미국 식품업계의 이러한 관세 면제 요청은 수산물과 농산물의 경제적 영향을 감안할 때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향후 식품 가격에 미치는 영향 역시 주목받고 있다.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우려하는 점은 관세가 소비자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고, 이는 미국 내 농수산물 산업 전반에 걸쳐 실질적인 압박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