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하며 금리 인하 기조를 이어갔다. 이번 결정은 경제 둔화와 장기화된 연방정부 셧다운으로 인한 선제적 대응의 일환으로 이뤄졌다. 시장에서는 이번 금리 인하가 예측된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 조치임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BTC)은 하락세를 보이며 전일 대비 3% 가량 떨어진 111,400달러(약 1억 1,140만 원)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번 금리 인하는 연준의 두 번째 연속 인하로, 노동시장에서의 약화 징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경기 부양을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현재 미국에서는 약 한 달 간 이어지는 정부 셧다운으로 주요 경제지표 수집이 중단되고 있어 고용 및 인플레이션 관련 공식 통계가 부재한 상황이다. 이로 인해 정책 결정 과정의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금리 인하 발표와 함께 양적 긴축(QT) 정책이 12월 1일부터 종료될 것이라고 밝혔다. QT 정책은 시중의 자산 공급을 줄여 통화를 줄이는 방식으로, 이번 종료 방침은 유동성 공급 확대 신호로 해석된다. 이는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었지만, 실제로는 냉담한 반응을 이끌어냈다.
예측 시장인 폴리마켓(Polymarket)에서는 수주 전부터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에 베팅하고 있었으나, 시장의 반응은 예상보다 미미했다. 비트코인 가격 하락과 함께 전체 암호화폐 시장의 시가총액도 3조 8,600억 달러(약 3,860조 원)로 집계되며, 변동성이 확대됐다. 파생상품 시장에서는 하루 기준 약 5억 6,000만 달러(약 5,600억 원) 규모의 청산이 이루어졌고, 이는 투자가들의 관망세 및 리스크 회피 심리가 여전히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금리 인하는 일반적으로 자산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지만, 이번 비트코인 가격 하락은 이례적인 상황으로 보인다. 정부 셧다운과 경제 지표의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정책 효과에 대한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으며, 특히 올해 급등한 비트코인에 대한 차익 실현 분위기가 반영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 결정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 시장의 반응은 정부의 경제 상황과 정책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냉담하다. 이는 향후 경제 상황과 정책 결정이 비트코인 및 암호화폐 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한 불안감을 더욱 심화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