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 전쟁이 마무리되고 양국 간 완충지대가 형성될 경우, 미국이 해당 지역의 감시 역할을 주도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5일 NBC뉴스를 포함한 여러 외신에 따르면, 미국은 종전 시 안전보장을 위한 방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으며, 이는 유럽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들이 제안한 40km 규모의 완충지대 설치와 관련이 있다. 이 경우 미국이 드론과 위성 자원을 활용해 완충지대를 감시하는 역할을 맡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여기에 더해, NATO 회원국이 아닌 국가들, 예를 들어 사우디아라비아나 방글라데시의 군대가 완충지대에 배치되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러시아가 NATO 회원국의 군대가 우크라이나에 주둔하는 것은 거부하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각 NATO 회원국의 양자 협정을 통해 우크라이나에 대한 안전보장을 추진하는 방안도 함께 고려되고 있다. 이는 NATO의 집단방위 조항을 회피하면서 러시아의 반발을 덜어줄 수 있는 방법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런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서 다른 나라의 군대가 활동하는 것에 대해 여전히 반대 의사를 확고히 하고 있다. 그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모두를 위한 안전보장이 필요하다”라는 입장을 밝히며, 외부 군대가 존재하는 것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우크라이나 내에서도 완충지대 설치에 대한 반대가 고조되고 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완충지대 설치가 영토 포기의 의미를 가진다며 강한 반대 의사를 밝혔으나, 이와 관련된 국제적 논의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한편, 미국은 국방부를 바탕으로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지원과 방위산업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있으며, 약 1000억 달러(약 139조 원) 규모의 협력 방안을 통해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지원하는 대신 미국이 해당 국가가 개발 중인 첨단 무기 시스템의 지적재산권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계획이라는 소식도 전해졌다. 이러한 동향은 미국이 우크라이나 전쟁의 종식을 위한 중재자로 나서고 있으며, 앞으로의 전략적 결정을 주의 깊게 지켜보아야 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