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현물 이더리움(ETH) 상장지수펀드(ETF)에서 약 768억 원 규모의 자금이 유출되며, 8일 연속으로 이어졌던 순유입세가 막을 내렸다. 이는 최근 투자자들의 심리가 관망세로 돌아설 가능성을 시사하는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시장 데이터 플랫폼 파사이드에 따르면, 지난 5일(현지시간), 현물 이더리움 ETF는 총 5,930만 달러(약 825억 원)의 순유출을 기록하였고, 이로써 8일 동안 지속되었던 순유입 흐름이 종료되었다. 이 기간 동안 누적된 자금 유입은 약 37억 달러(약 5조 1,430억 원)로, 이는 이더리움 ETF에 대한 기관과 대형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반영하고 있었다.
ETF 자금의 흐름은 이더리움 가격 전망의 중요한 선행 지표로 간주된다. 실제로 이더리움은 지난 4일, 2021년 기록적인 최고가였던 4,878달러(약 6,783만 원)에 도달하기까지 불과 1.94% 부족했던 상황이었으나, 이후 가격은 4,448달러(약 6,183만 원)로 하락하며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했다. 이는 단기적인 조정 국면에 들어설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ETF 자금의 유출이 시장 전반의 기대 심리가 약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보고 있다. 이더리움이 과거 최고가를 다시금 돌파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ETF 투자뿐만 아니라 기업 및 기관 차원에서 이더리움 매수를 늘려야 하며, 이와 함께 이더리움 관련 자산 편입 등의 움직임에도 주목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
향후 몇 주 동안 이더리움 가격은 ETF의 순유입 현황과 함께 기업의 매수 동향, 매크로 경제 지표 등 다양한 요소를 반영하여 방향성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된다. ETF에서의 순유출이 일시적인 조정인지 또는 본격적인 차익실현의 신호인지는 다가오는 주의 시장 반응을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복합적인 요소들이 결합되어 이더리움 시장의 향후 움직임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니, 투자자들은 심도 있는 분석과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