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이탈리아산 파스타에 106.74% 관세 부과 예고

[email protected]



미국 상무부가 이탈리아산 파스타에 대해 최대 106.74%에 달하는 고율 관세를 부과할 계획을 발표하면서 이탈리아 식품 산업에 심각한 충격이 전해지고 있다. 특히 이번 결정은 이탈리아가 매년 미국에 약 1조 원 규모의 파스타를 수출하는 상황에서 단행된 것으로, 이탈리아 파스타 업계는 생계의 위협을 느끼고 있다.

미국 정부는 9월 4일, 이탈리아 13개 파스타 브랜드에 대해 91.74%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는 잠정 결정을 내렸다. 이는 기존에 적용 중인 15%의 일반 관세가 추가된 수치로, 최종 확정 시 2026년 1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현재로서는 이 조치가 확정되지 않았지만, 만약 실제로 시행될 경우 이탈리아산 파스타의 가격은 미국 시장에서 두 배 이상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관세 부과가 이탈리아의 파스타 산업에 막대한 타격을 줄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이탈리아는 세계에서 가장 큰 파스타 수출국으로, 전체 수출의 25%가 미국 시장으로 향하고 있으며, 파스타 산업에 종사하는 인원만 해도 5만 명에 달한다. 만약 미국 시장이 닫혀버린다면 이들 중 소규모 기업과 종사자들은 생계의 어려움에 직면할 것이다.

이탈리아식품연합회(UIF)는 이 조치에 대해 강력히 반발하며 관세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UIF 회장인 마르게리타 마스트로마우로는 “이런 세율이 유지된다면, 대부분의 업체들은 미국 시장에서 철수할 수밖에 없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이와 관련하여 이탈리아 정부와 EU 집행위원회도 대응을 검토 중이며, 미국의 보호무역 정책에 대항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편, 이탈리아산 파스타에 대한 관세 부과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과거에도 여러 차례 관련 갈등이 있었으나, 이번 만큼의 고율 관세는 전례가 없다. 이탈리아와 미국 간의 무역 협정이 과연 지속 가능할 것인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일부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미 국가 내의 권력 다툼의 결과라는 분석도 제기하고 있다.

이탈리아의 파스타 산업이 중대한 기로에 서도록 만든 이번 고율 관세 부과 예고는 단순히 경제적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식문화와 산업 생태계에까지 파장을 일으킬 수 있는 사안이다. 소비자들에게도 이탈리아산 파스타의 가격 인상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이는 결국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