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27일부터 인도에 대해 50%의 초고율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양국 간 무역 협상이 표류하고 있다. 원래 25일부터 29일로 예정되었던 미국 무역협상단의 인도 뉴델리 방문이 취소되면서, 단기적인 합의 가능성이 낮아졌다.
미국은 이미 이달 초 인도에 대해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한 바 있으며, 이번에 추가로 부과될 25%의 관세가 더해져 총 50%의 관세가 적용될 예정이다. 이는 미국의 주요 교역 상대국 중에서 가장 높은 세율로, 이러한 조치는 무역 갈등을 더욱 악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무역 협상이 연기되면서, 인도가 오는 27일 이전에 합의를 도출해 추가 관세 부과를 피할 가능성은 더욱 줄어들었다. 지난 4월, 미국은 인도에 대해 26%의 상호관세 부과를 예고하였고, 이후 양국은 다섯 차례의 협상을 진행했으나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한 상황이다. 인도의 미국산 농축산물 및 유제품에 대한 관세 인하와 러시아산 석유 수입 관련 입장 차이가 주요 쟁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인도의 러시아산 석유 거래를 강력히 비판하며 추가적인 제재를 예고했으나, 인도 정부는 미국 및 유럽연합(EU)이 여전히 러시아산 상품을 수입하고 있는 상황에서 인도만을 겨냥하고 있다는 주장을 펼치며 불만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인도의 나렌드라 모디 총리는 최근 36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무기 구매 계획 발표를 연기하기도 했다.
모디 총리는 독립기념일 연설을 통해 ‘강한 인도’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제트 엔진, 전기차 배터리 등 핵심 기술과 제품을 자국 내에서 직접 생산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미국의 압박에 대한 저항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현재의 무역 갈등이 양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의 관세 부과는 인도의 산업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인도는 자국의 경제 자립도를 강화해야 하는 시점에 처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도가 얼마나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지가 향후 경제적 안정과 무역 관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