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이 암호화폐 거래소 가란텍스(Garantex)에 대한 두 번째 제재를 부과한 가운데, 이 거래소가 이미 비상 계획을 마련해 놓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블록체인 정보 분석 기관 TRM 랩스(TRM Labs)는 가란텍스가 제재 사전부터 사용자와 자금을 신속히 이동할 방안을 준비했음을 지적하고 있다.
OFAC는 최근 가란텍스와 후속 거래소인 그리넥스(Grinex)를 동시에 제재 리스트에 올렸다. 그러나 TRM 랩스는 해당 날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가란텍스와 같은 기업들은 예상되는 규제 조치에 미리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세워 그 효과를 최소화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는 고객의 이탈을 줄이고 자산을 신속하게 분산할 준비가 이미 되어 있었음을 시사한다.
가란텍스는 랜섬웨어 조직의 자금 세탁, 다크넷 거래, 불법 자본 이동 등에서 중심 역할을 해 온 거래소로 알려져 있다. 미국 법무부의 자료에 따르면 가란텍스는 2019년부터 2025년 3월까지 총 960억 달러(약 133조 4,400억 원)의 암호화폐를 처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불법 자금 흐름의 상당 부분을 차지할 만큼 큰 규모다.
TRM 랩스는 또한, 지난 3월 미국, 독일, 핀란드 정부가 가란텍스의 인프라를 해체한 사실을 언급하며 그리넥스가 2024년 12월 키르기스스탄 정부에 등록된 바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가란텍스가 인프라 해체보다 몇 달 전에 후속 거래소를 준비했다는 점에서 사전 대응 가능성이 더욱 짙다는 분석을 가능케 한다.
특히 가란텍스에 연결된 지갑 주소들은 인프라 해체 직전인 2025년 1월부터 러시아 루블에 연동된 스테이블코인 A7A5로 자금을 이동시키기 시작했다. TRM 랩스는 이 움직임을 “규제 조치가 임박했음을 미리 인지하고 제재 회피를 위한 전용 자금 전송 경로를 구축하려는 시도”라고 해석하고 있다.
이 사건은 암호화폐 산업에서 제재 회피 전략이 점점 더 정교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된다. 전문가들은 국제적인 협력을 강화하고 제재 대상의 사전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감지하고 차단할 수 있는 사이버 감시 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발언하고 있다. 앞으로의 디지털 자산 생태계는 이러한 사전 준비와 대응 전략에 따라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