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현지 시간으로 25일, 내년에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의 정상회담이 최대 4차례 열릴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는 양국 관계에 큰 안정성을 가져올 것이라는 주장을 하며, 이러한 회담을 통해 대면 소통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베선트 장관에 따르면, 시 주석은 미국에서 개최되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할 예정이며, 트럼프 전 대통령은 중국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도 참여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일정은 내년 동안 최소 네 차례 미·중 정상 간의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최근 시진핑 주석과의 통화에서 내년 4월 베이징 방문을 수락했으며, 그에 따라 시 주석이 미국을 국빈 방문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통화는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시 주석이 먼저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요청한 것으로 보도되었다. 베선트 장관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11월 중국 선전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에 참석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2026년에 예정된 G20과 APEC 정상회의가 각각 12월과 11월로 계획되어 있어, 양국 정상은 이 기회를 통해 별도의 정상회담을 진행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이처럼 다자회의를 활용한 만남은 양국 간의 관계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베선트 장관은 “양국은 항상 경쟁자로 남을 것이며, 이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라면서, 그러나 대면 회담을 통해 이루어진 안정성은 미국 국민은 물론 세계 경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대만 문제에 대한 미국의 입장은 변함이 없다는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전날 중국 신화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대만 문제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보도되었으나, 그는 자신의 SNS에서 이 문제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은 바 있다.
또한, 베선트 장관은 이날 차기 미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선출을 위한 후보자 면접이 진행되고 있으며, 대통령이 크리스마스 전에 차기 의장을 발표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현재 거론되는 후보군으로는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 케빈 워시 전 Fed 이사, 크리스토퍼 월러 Fed 이사, 미셸 보먼 Fed 이사, 블랙록의 릭 라이더 최고투자책임자(CIO) 등 5명이 포함되어 있다.
이번 회담과 차기 Fed 의장 선출이 진행됨에 따라, 미·중 관계에 대한 관심과 시장 반응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과 중국의 정상 간 대면 만남은 경제 및 정치적인 파장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러한 회동을 통해 양국 간의 긴장을 완화하고 협력 방안을 모색할 기회가 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