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재무장관, 일본 금리 인상 압박…중앙은행 정책에 대한 우려 표명

[email protected]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일본 중앙은행의 인플레이션 대응이 부족하다며 금리 인상을 촉구하고 나섰다. 그는 13일(현지시간) 블룸버그 TV와의 인터뷰에서 “일본은 현재 인플레이션 문제에 직면해 있다”며 “금리를 올려 인플레이션 문제를 효과적으로 통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베선트 장관은 일본은행의 우에다 가즈오 총재와 이와 관련된 대화를 나눴다고 밝혀 일본의 통화정책에 대한 미국의 관심을 시사했다.

하지만 베선트 장관의 입장은 우에다 총재의 견해와 명백한 대조를 이룬다. 일본은행은 지난달 기준금리를 0.5%로 4회 연속 동결했으며, 우에다 총재는 기자회견에서 현재의 금리 정책이 적절하다는 입장을 되풀이했다. 이는 미국이 일본은행에 대해 지속적으로 긴축적인 통화정책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과의 간극을 보여준다. 미국 재무부는 지난 6월의 의회 보고서에서 “일본은행이 자국의 경제 기초 여건에 맞춰 그들의 통화정책을 개선해야 한다”며, 달러 대비 엔화 약세를 해소하고 양국 간 무역에서 구조적 균형을 이뤄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베선트 장관의 발언 이후 금융시장도 즉각 반응했다. 투자자들 사이에서 일본이 올해 10월 혹은 내년 1월에 금리 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전망이 증가했다. 이로 인해 일본의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0.04%포인트 상승해 1.55%에 도달했으며, 달러당 엔화 환율은 146.4엔으로 하락했다. 이러한 시장 반응은 베선트 장관의 발언이 단순한 의견 표시가 아님을 보여준다.

게다가, 베선트 장관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도 금리 인하를 요청하는 발언을 하고, 러시아산 원유 수입 문제로 인도에 대한 2차 관세 인상 가능성에 대해서도 경고했다. 그는 “러시아 원유를 구매하는 인도에 추가 관세를 부과했고, 만약 상황이 나빠진다면 제재를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러시아산 원유 구입을 이유로 인도에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일본 및 인도 간의 경제적 긴장을 더욱 심화시킬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처럼 미국의 통화정책 및 외교적 압박은 일본을 포함한 다른 국가들에게도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글로벌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을 가중시키고 있다. 베선트 장관의 발언은 단순한 경제적 분석을 넘어 글로벌 금융시장에서의 협력과 조율의 중요성을 되새기게 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