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에서 저소득층 노동자들의 임금 상승률이 고소득층에 비해 더욱 가파르게 둔화되고 있다는 보고서가 발표됐다.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의 자료에 따르면, 주당 806달러(약 111만원) 미만을 받는 하위 25% 노동자들의 임금 상승률은 올해 6월 기준으로 연 3.7%에 그쳤다. 이는 2022년 말 팬데믹으로 인한 인력난이 심했던 시기에는 7.5%에 달했던 것에서 크게 하락한 수치이다.
대조적으로, 주당 1887달러(약 261만원) 이상의 상위 25% 노동자들은 같은 기간 임금이 4.7% 상승하며 둔화 폭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는 전체 노동자 평균 상승률인 4.3%와 유사한 패턴을 보인다. 이와 같은 통계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노동부의 고용 보고서 발표 직후에 발표한 것이며,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7월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가 7만3000명 증가하여 전문가의 예상치인 10만명에 크게 못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5~6월의 일자리 증가 폭도 하향 조정되며 총 25만8000명의 일자리가 추가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보고서에서는 27주 이상 실직 상태인 사람의 수가 180만 명을 초과하였고, 이는 팬데믹 시기를 제외하곤 2017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로 기록됐다. 이 실직자 수는 전체 실업자의 4분의 1에 해당하며, 지난해 같은 시기보다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현재의 관세 불확실성과 기업의 신중한 채용 방식이 노동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과 정부 지출 삭감이 저소득층 가계에 특히 더 큰 타격을 줄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예일대학교의 예산연구소는 관세로 인해 최하위 10% 가계의 가처분 소득이 단기적으로 3% 이상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며, 반면 상위 10%는 1% 수준의 영향에 그칠 것으로 분석했다. 이러한 비율은 저소득층이 더 큰 경제적 부담을 떠안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를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결국, 저소득층의 임금 상승 둔화는 단기적인 임금 문제가 아니라 장기적인 경제 불균형을 가져올 수 있는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제 정책과 정부의 대응이 저소득층의 재정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