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랜섬웨어와 관련된 불법 활동의 결과로 비트코인 20.2개를 압류하고 이에 대한 민사 소송을 제기했다. 해당 비트코인은 약 240만 달러(약 33억 3,600만 원)의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텍사스 북부지방법원에 지난주 목요일에 소송이 접수됐다. 이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미국의 전략적 비트코인 준비금 구상을 강화하기 위한 맥락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다.
압류된 비트코인은 ‘카오스(Chaos)’ 랜섬웨어 조직과 연관된 지갑 주소에서 확보된 것으로, 이들 조직은 국내외에서 발생한 여러 랜섬웨어 공격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 텍사스 연방 검찰은 해당 비트코인이 불법 활동의 수익금이며, 다수의 사이버 범죄와의 연결점이 명확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비트코인은 지난 4월 15일, 댈러스에 위치한 FBI의 수사관들에 의해 집행된 수사 과정에서 압수되었으며, 범죄 수익으로서의 물적 근거가 충분히 확보되었다고 설명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주목할 점은 몰수된 디지털 자산이 미국의 전략적 비트코인 준비금에 편입될 가능성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월 6일 행정명령을 통해 범죄로 몰수된 암호화폐를 기반으로 국가 비축 자산을 구축하겠다고 명시했다. 이는 미국 정부가 디지털 자산을 국가의 전략 자산으로 인식하고 본격적으로 관리하는 첫걸음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미국의 디지털 자산 정책을 재정의하는 중요한 기로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미국 정부가 암호화폐를 단순한 혁신 요소로 취급하는 것에서 벗어나, 국가 안보 및 경제 전략의 일환으로 재편성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평가하고 있다. 이런 비축 방식은 향후 미국의 디지털 자산 정책 방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정부의 이번 랜섬웨어 관련 비트코인 압류는 암호화폐에 대한 공적 인식의 변화와 위협 요소인 사이버 범죄와의 전쟁을 더욱 심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랜섬웨어 공격의 증가와 같은 사이버 범죄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정부는 이러한 조치를 통해 범죄 수익을 차단하고, 국가의 재무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