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의 셧다운 우려가 고조됨에 따라 비트코인(BTC)의 최근 상승세가 주목받고 있다. 정치적 교착 상태가 심화되면서 전통 금융시장에 대한 투자자들의 신뢰가 흔들리고 있으며, 이로 인해 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을 포함한 대체 자산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9월 말, 비트코인은 약 4.2% 상승하였고, 이는 시장 전반에 퍼진 셧다운 우려가 안전자산 선호 심리를 자극한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나스닥 관련 보도에 따르면, 이러한 상승 흐름은 경제 지표 발표의 지연과 미국 재정 불확실성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를 반영하고 있다. 또한, 아이셰어스 비트코인 트러스트 ETF(iShares Bitcoin Trust ETF)도 9월 29일 기준으로 4.9% 상승하며 비트코인에 대한 투자 심리가 전통 금융상품으로까지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같은 기간 동안 금 가격 역시 달러 약세를 배경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비트코인 뿐만 아니라 금처럼 전통적인 헤지 자산에 대한 투자자의 선호가 강화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외교관계위원회(Council on Foreign Relations)는 디지털 자산의 성장세가 기존 금융 통제 환경에 도전하고 있으며, 제도적 혼란이 심화됨에 따라 비트코인으로의 자금 유입이 더욱 확대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뉴욕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과거의 셧다운은 대개 신속하게 해결되었으나 그 여파는 장기간 시장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현재와 같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의 디지털 자산 관련 ETF 승인 및 규제 검토 일정이 지연될 가능성이 높아, 향후 시장 전망이 더욱 불확실해질 수 있다는 점이 우려된다.
미국 금융시장 내 정치적 교착 상태는 비트코인의 서사(narrative)를 강화하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와 공화당 간의 예산안 갈등이 깊어짐에 따라 비트코인이 제도 밖의 해결책으로 다시금 주목받고 있는 상황이다. MarketWatch는 이러한 상황 속에서 단기적인 변동성이 확대될 우려가 있으며, 통화정책과 맞물릴 경우 시장의 긴장이 장기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비트코인이 이제는 주식 시장과 완전히 독립된 ‘비상관자산’으로 간주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CME 그룹 자료에 따르면, 최근 비트코인은 미국 증시와의 상관성이 더욱 강화되고 있으며, 이는 시장 전반에서 리스크 선호 심리가 증가하고 있다는 해석을 뒷받침하고 있다.
기관투자자들의 관심도 눈에 띈다. 아이셰어스 ETF와 같은 상품을 통해 전통적인 투자자들이 비트코인에 간접적으로 노출되고 있으며, 이는 리테일 투자자뿐만 아니라 펀드 매니저들까지 디지털 자산을 헤지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결국, 비트코인의 이번 상승은 강한 가격 모멘텀과 경제적 불확실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앞으로의 시장 흐름은 미국 의회가 예산안을 어떻게 통과시킬 것인가에 따라 크게 좌우될 것으로 예상된다. 비트코인은 이제 단순한 투기 자산을 넘어 정치 및 경제적 불안에 대응하는 시스템적 대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향후 시장에서 그 역할이 더욱 증대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