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현지시간) 뉴욕 증시는 연방정부의 셧다운 우려에도 불구하고 모두 상승세로 마감하며 다우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다우지수는 전일 대비 81.82포인트(0.18%) 오른 46,397.89로 장을 마쳤고, S&P500지수는 27.25포인트(0.41%) 상승한 4,688.46, 나스닥지수는 68.855포인트(0.31%) 오른 22,660.009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번 상승세는 9월 한 달 동안 S&P500지수가 3% 넘게 상승하며, 지난 5년간 9월 평균 4.2% 하락세를 고려할 때 만족스러운 성과라 할 수 있다. 다우지수와 나스닥지수 역시 각각 2%와 5% 가량 상승하며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갔다.
장 초반에는 셧다운 우려로 약세를 보였으나, 투자자들은 불안감을 털어내고 매수에 나섰다. 2025회계연도가 종료되고 의회가 임시 예산안에 합의하지 못할 경우, 연방정부는 10월 1일부터 셧다운이 발생할 수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셧다운 가능성에 대해 “어떤 일도 불가피한 건 아니지만 셧다운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했으나, 여야 간의 합의는 여전히 난항을 겪고 있다.
공화당의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이 셧다운 회피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이라고 언급한 가운데, 민주당의 척 슈머 원내대표와 하킴 제프리스 원내대표 간의 책임 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이 같은 정치적 불안정성에 크게 흔들리지 않았다. 과거 사례에서 셧다운이 2주 이상 지속된 적이 드물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지 않은 전문가들은 셧다운이 장기화될 경우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클 수 있다고 경계하고 있다. 노무부 산하 노동통계국(BLS)의 운영 중단으로 인해 주요 경제 지표 발표가 지연될 수 있으며, 특히 10월 연준의 금리 결정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 9월 고용보고서가 지연될 경우 통화정책의 불확실성이 커질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9월 비농업 신규 고용 증가가 51,000건에 이를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으며, 실업률은 4.3%가 유지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고용보고서 발표 지연이 오히려 시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개연성도 있다는 평가도 있다.
미 국채 금리는 여러 방향에서 엇갈리고 있으며, 10년물 금리는 1bp(0.01%포인트) 오른 4.15%, 2년물 금리는 1bp 내린 3.61%에서 거래되고 있다.
종목별 동향을 살펴보면, 데이터센터 운영업체 코어위브의 주가는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와 최대 142억 달러 규모의 컴퓨팅 파워 공급 계약 체결 소식에 11.7% 급등했다. 반면, 엑손모빌은 전 세계 인력 2,000명 감원 계획을 발표하면서 1.29% 하락했다.
이처럼 뉴욕 증시는 정치적 불안감 속에서도 긍정적인 투자 심리를 이어가며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