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 셧다운 우려에 뉴욕증시 하락…AI 주가는 투자자 간 갈림길

[email protected]



미국 뉴욕 증시가 30일(현지시간) 오전에 약보합세로 출발했다. 이같은 하락세는 연방정부의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 우려가 커지면서 투자자들이 신중한 태도를 보인 결과로 해석된다. 현재 상원은 임시 예산안 표결을 진행할 예정이며, 부통령과 하원의장은 셧다운 가능성을 열어둔 상태이다.

오전 9시 35분 기준 다우지수는 31.87포인트(0.07%) 하락한 46,284.2를, S&P 500 지수는 11.03포인트(0.17%) 내린 6,650.18을, 나스닥지수는 53.805포인트(0.24%) 떨어진 22,537.349에 각각 거래되고 있다. 2025 회계연도를 앞두고 셧다운의 현실화 가능성이 커지면서, 시장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 간의 협상은 전날 진전을 보지 못했으며, 이날 상원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법안 표결을 다시 실시할 예정이다. 협상이 계속 결렬되면, 연방정부는 10월 1일부터 실제 셧다운에 돌입할 가능성이 높다. 일반적으로 시장은 셧다운 우려에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지만, 지난 5월 미국의 신용등급이 하향 조정된 일이 재발할 것이라는 우려가 투자 심리를 압박하고 있다.

특히 공화당은 셧다운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으며,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은 셧다운 회피 가능성에 회의적이라는 의견을 내비쳤다. 이는 J.D. 밴스 부통령의 발언과 함께 셧다운 경계감을 더욱 증대시키고 있다. 만약 셧다운이 현실화될 경우, 통화정책에도 불똥이 튈 수 있다는 우려가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 노동부는 비상계획 발표에서, 셧다운 기간 동안 노동통계국(BLS)의 모든 운영이 중단될 것이라며 경제 지표 발표가 지연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10월 3일 발표될 9월 고용 보고서는 연방준비제도(Fed)의 다음 금리 결정에 중요한 지표로 작용할 예정이라, 이 보고서의 발표 지연은 통화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을 더욱 높일 것으로 보인다. 예상에 따르면, 9월 비농업 신규 고용은 5만 1,000건 증가하며, 실업률은 4.3%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애덤 크리사풀리 바이털 놀리지 설립자는 시장이 셧다운에 대해 점차 녹색 불안을 느끼고 있으나, 상황이 2주 이상 지속되면 투자자들의 우려는 본격화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한, 캐시 존스 슈와브 수석 채권 전략가는 고용 시장이 Fed의 금리 인하 결정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며, 9월 실업 보고서 지연 위험이 시장의 불안감을 가중시킬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미국 국채 금리는 소폭 하락하며, 10년물 금리는 1bp(1bp=0.01%포인트) 내린 4.13%, 2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1bp 낮아진 3.63%에서 거래되고 있다. 에코스타 위성TV 업체는 버라이즌에 무선 주파수를 매각했다는 소식으로 주가는 3.61% 상승했지만, 엑손모빌은 2,000명 감원 소식에 0.89%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AI) 관련주들은 엇갈리는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엔비디아와 마이크론은 각각 0.7%, 1.64% 상승했으나, AMD는 0.69% 하락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