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 사태가 발생한 첫날인 1일(현지시간), 공화당 내에서 연방 공무원 감축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뤄졌다. 특히, 강경파의 사이에서는 대규모 해고를 통해 민주당에 압박을 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나, 온건파는 이를 이행할 경우 역풍이 우려된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공화당의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은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셧다운을 통해 민주당의 지원 없이도 평소 추진하기 어려운 정책을 시행할 수 있는 기회가 왔다”며, 백악관이 어떤 서비스가 필수적이고 어떤 정책이 지속되어야 할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셧다운이 일어난다면 많은 사람들이 해고될 것”이라는 경고와도 일맥상통하는 발언이다.
그러나 J.D. 밴스 부통령은 대량 해고 가능성에 선을 그으면서 “공화당 누구도 해고를 원하지 않는다”며, 셧다운의 부정적 결과에 대한 책임은 민주당에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공화당 내부에서의 논쟁을 더욱 복잡하게 만드는 요소가 되었다.
지난 2025 회계연도 마지막 날인 9월 30일까지 신규 예산안이나 임시 예산안 처리에 실패하면서, 미국 연방정부는 2018년 12월 이후 7년 만에 업무가 중단됐다. 민주당은 오바마케어 보조금 지급 연장을 임시 예산안에 포함하겠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공화당은 이를 불법 이민자에 대한 혜택으로 간주하고 반대하여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졌다. 결국, 의회가 승인하지 않으면 지자체 정부기관의 예산이 지급되지 못하고, 필수 인력을 제외한 대다수 연방 공무원은 무급 휴직에 들어가며 각종 행정 서비스가 중단되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양당의 온건파는 연방정부 기능 정상화를 위한 협의점을 찾는 등 서로의 체면을 살려줄 출구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상원은 이날 민주당의 임시 예산안 처리 시도를 했지만, 47표 찬성, 53표 반대로 부결됐고, 공화당의 임시 예산안 또한 55표 찬성, 45표 반대로 실패했다. 임시 예산안 통과를 위해서는 최소 60표가 필요하다는 점도 협상에 어려움을 더하고 있다. 이와 같은 난관 속에서도 민주당 및 민주당 성향 무소속 의원 중 3명이 공화당 안에 찬성표를 던짐에 따라 민주당의 향후 협상력이 약화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상원은 오는 3일 재표결을 통해 새로운 상황을 도모할 예정이다. 미국 내 정치적 불안정성과 연방정부의 기능 중단이 맞물리며 향후 전개될 사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치권의 협상과 대화가 더욱 절실해진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