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 인텔 지분 인수…비트코인 기업 국유화 우려 커져

[email protected]



미국 정부가 반도체 기업 인텔의 지분 10%를 확보한다는 발표가 있은 후, 암호화폐 업계에서도 유사한 정부 개입 시나리오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 미국 정부는 총 90억 달러(약 12조 5천억 원)를 투입하여 인텔($INTC) 주식을 인수하기로 결정, 이는 정부의 전략적 투자 방식이 비트코인(BTC) 산업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분석을 낳고 있다.

비트코인 초기 투자자인 튜어 드미스터는 “미국 정부가 인텔에 대해 취한 방식처럼 비트코인 기업에도 손을 뻗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X(구 트위터)를 통해 “역사는 극단으로 여겨졌던 조치들이 위기 상황에서는 신속히 주류가 될 수 있음을 증명해왔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경고는 최근 애더먼트 리서치에서 발간한 보고서에서도 일부 뒷받침되고 있다.

보고서는 “규제 환경이 완화되고 있지만, 수탁 중인 비트코인 자산에 대한 역사적 리스크는 여전히 존재한다”고 명시하며, 특히 미국 내 고규제를 받는 온쇼어 기관에 예치된 대규모 비트코인이 몰수나 재담보화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음을 강조했다. 이는 과거 금융기관들이 고객 자산을 반복적으로 담보로 삼았던 섀도 뱅킹 관행을 떠올리게 한다.

이와 같은 인텔 지분 매입 사례가 암호화폐 시장에 적용될 경우, 정부의 개입 정당성이 부여되면서 업계 전반에 불확실성이 증대될 가능성이 있다. 보고서는 “암호화폐 기업에 대한 국유화 또는 지분 인수가 증가하게 되면, 비트코인의 핵심인 탈중앙화 원칙이 훼손될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애더먼트 리서치는 투자자들에게 “기존의 선도적 위치나 시장 점유율보다는 다국가에 분산된 운영 구조를 가진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더 안전한 선택”이라고 조언하며, “가장 중요한 것은 비트코인이라는 직접 자산에 대한 노출, 그것을 보유한 기업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암호화폐 업계에서는 이번 이슈가 단순한 우려에 그칠 것인지, 아니면 정부의 실제 개입으로 이어질 것인지에 대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일부 전문가들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국가 주도 산업 육성 전략이 암호화폐 산업으로 확대될 가능성에 대해서도 경제계에서 주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미국 정부의 암호화폐 기업에 대한 개입이 실제로 이루어질 경우, 수탁 자산 관리 방식과 기업 지배 구조에 중대한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현재 업계에서는 “암호화폐에 대한 신뢰와 자율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개입 범위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는 암호화폐 생태계의 근본적인 가치와 원칙을 지키기 위해 필수적인 조치로 여겨진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