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 한국의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참여 가능성 제기

[email protected]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이 한국이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파이프라인 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할 가능성이 있음을 30일(현지시간) 언급했다. 이 발언은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이 한국의 이 프로젝트 참여를 미리 암시한 직후에 나왔다. 알래스카 LNG 개발은 약 450억 달러가 투입될 대규모 사업으로, 상업적 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관건으로 지목되고 있다.

베선트 장관은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일본이 이 프로젝트에 참여할 것이라는 확신을 표명하고, 한국도 그 일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이 자국 수요의 약 10%를 러시아에서 구매하고 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러시아 의존도를 줄일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그는 중국도 프로젝트 참여 의사를 표명했다고 전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미중 정상 회담에서 이 프로젝트에 대해 자국이 참여하고 싶다고 밝히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 프로젝트가 미국에서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수준의 에너지 지배력을 발휘할 것이며, 일자리 창출뿐 아니라 전략적 안전성도 높여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 및 일본의 참여를 지속적으로 독려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의 에너지 수출 능력을 강화하고 러시아로부터의 주도권을 빼앗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러트닉 장관은 한국의 알래스카 LNG 개발 참여를 사실상 기정사실화하며, 한미 간의 대규모 투자 합의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한국이 총 3500억 달러의 대미 투자에 합의했으며, 그 중 1500억 달러는 미국 내 선박 건조에, 나머지 2000억 달러는 미국 내 다양한 프로젝트에 투자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투자에는 알래스카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에너지 인프라 등이 포함된다.

미국 정부는 한국 측이 경제성 보장과 원리금 보장을 전제로 투자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참여를 공식화한 적은 없다. 그러나 최근 발표된 내용에 따르면 이 문제는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금액이 집행되는 과정에서 본격적으로 다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한국이 미국으로부터 관세를 인하받는 조건으로 약속한 투자금 중 일부를 차지하고 있으며, 향후 한국의 에너지 및 인프라 투자 방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