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식, 미세한 상승세 지속… 하지만 채권 수익률 급등과 무역 갈등이 암운으로 드리워져

[email protected]





미국 주식시장은 최근의 상승세를 이어가며 미세한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S&P 500 지수는 소폭 상승했으며, 이는 무디스가 미국의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한 것을 투자자들이 간과한 결과로 해석된다. 그러나 시장에는 여전히 불안 요소가 존재한다. 내역 중 하나는 3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5%를 초과해 2023년 1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이러한 상승세는 국가 차원의 신용등급 하락에 따른 불안감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브릿지워터 어소시에이츠의 창립자이자 억만장자인 레이 달리오는 미국의 낮은 국가 신용등급이 미국 국채에 대한 위협을 과소평가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신용평가사가 정부가 부채를 상환하기 위해 단순히 돈을 찍어낼 위험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JPMorgan의 CEO인 제이미 다이먼은 시장이 관세 문제에 대해 지나치게 안일하다고 경고하며, 무역 정책의 불확실성 속에서 S&P 500의 수익 성장률이 급격히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무역 협상 측면에서는 중국이 미국의 기계 부품 사용 금지 경고 이후, 양국의 예비 무역 협정을 저해하고 있다고 비난하고 나섰다. 미국은 화웨이를 겨냥한 산업 경고를 발표했으며,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이 같은 경고가 “차별적”이고 “시장을 왜곡한다”며 미국 정부가 잘못을 수정할 것을 요구했다.

한편, 영국 파운드는 유럽연합(EU)과의 역사적인 브렉시트 후 관계 재설정 합의에 따라 미국 달러 대비 상승세를 보였다. 이 합의는 안보, 에너지, 무역, 여행 및 어업 등 여러 분야를 아우르고 있으며, 양측은 젊은 세대들이 유럽에서 자유롭게 일하고 여행할 수 있도록 하는 문제에 대해서도 해결책을 모색할 예정이다.

현재 U.S. 시장은 여전히 소폭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S&P 500은 0.09% 오른 지수로 여섯 번째 연속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나스닥 종합지수는 0.02% 소폭 상승한 가운데,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유나이티드헬스 주가 반등에 힘입어 0.32% 상승했다.

마지막으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과의 무역 및 방위 문제에 대해 ‘일괄 거래’를 원하고 있으나, 이러한 접근 방식이 미국의 신뢰성에 해를 끼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국은 미국의 군대를 주둔시키기 위한 비용 분담 문제에 대해 논의할 준비가 되어있는 것으로 보이나, 이러한 거래 방식이 미국을 고립된 초강대국으로 만드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