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최초의 도지코인 ETF 출시, 제도화와 투기 간의 논란

[email protected]



미국에서 최초로 도지코인(DOGE) 상장지수펀드(ETF)인 ‘렉스-오스프리 도지코인 ETF'(Rex-Osprey Dogecoin ETF, 티커: DOJE)가 이번 주 목요일 정식 출시된다. 이 소식은 암호화폐 업계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으나, 그에 대한 의견이 분분해 환영과 회의론이 뒤섞이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도지코인이 제도권에 진입하는 상징적인 사건이라고 평가하는 반면, 다른 이들은 이를 단순한 투기 상품으로 간주하고 있다.

특히 이번 도지코인 ETF는 비트코인(BTC) 현물 ETF와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승인을 받은 점이 눈에 띈다. 기존 비트코인 ETF들이 1933년 증권법의 틀 안에서 규제받는 것과 달리, DOJE는 1940년 투자회사법을 적용받는다. 이 법은 주로 뮤추얼 펀드와 자산 분산형 ETF에 적합하게 설계되어 있다. 이에 따라 DOJE는 비트코인을 직접 보유하는 모델이 아닌, 케이맨 제도에 설립된 자회사를 통해 도지코인 관련 파생상품에 간접 투자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는 1940년 투자회사법이 자산의 단일 편중을 제한하는 규정을 반영한 결과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암호화폐 ETF의 출시는 업계에서 환영받는 이벤트로 여겨지지만, 이번 도지코인 ETF는 이는 좀 더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비판자들은 도지코인을 단순한 밈(meme) 토큰으로 간주하며, 이러한 자산을 ETF로 포장해 투자자에게 높은 관리 수수료를 부과하는 행위가 윤리적으로 문제 있다고 지적한다. 도지코인을 직접 매수하는 것보다 ETF를 통해 투자할 이유가 없다는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도지코인이 처음에는 농담으로 시작된 자산임에도 불구하고, 본질적으로 활용도가 높은 프로젝트들을 제치고 ETF 시장에 등장했다는 점을 강조하며 암호화폐 시장의 신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반면에 이 같은 변화가 다소 과격하게 느껴지더라도, 커뮤니티 기반의 암호화폐가 제도 금융권에 발을 딛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평가하는 시각도 존재한다.

결국, 도지코인 ETF의 출시는 암호화폐의 제도화와 관련한 복잡한 논의를 촉발하게 될 뿐만 아니라,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선택지를 제공할 것이다. 하지만 동시에, 투기성과 신뢰성 간의 경계가 좁아지는 현상을 심도 있게 고려해야 할 시점에 다다른 것으로 볼 수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