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미국의 평균 관세율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높은 15.2%로 올라섰다. 이는 기존의 2.3%에서 급격히 증가한 수치로, 주요 교역국들과의 협상이 영향을 미쳤다. 한국, 일본, 유럽연합(EU) 등은 15%의 관세율에 합의했지만, 중국, 캐나다, 멕시코와는 여전히 협상이 진행 중이다.
블룸버그 통신은 7일 보도를 통해, 미국이 거의 모든 교역국에 대해 기존보다 높은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고 강조했다. 주요 외신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수십 년간 유지되어 온 국제 무역 질서를 기초부터 흔들고 있으며, 이는 새로운 무역 경쟁 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라고 평가하고 있다.
스위스는 선진국 중 가장 높은 39%의 관세를 통보받았으며, 인도는 러시아산 석유 수입에 대한 보복 조치로 50%의 고율 관세를 부과받았다. 미국이 전략적 경쟁국으로 지목한 중국과 이웃 관계인 캐나다와 멕시코는 여전히 협상 테이블에 머물고 있어, 향후 변화가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적자 감소와 미국 제조업의 부활을 주창하고 있으나, 미국 내에서 고물가와 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 발표된 고용 지표는 하향 조정되었고, 경기 둔화 조짐이 감지되며 월가에서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가 10~15% 하락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호주 오클랜드대학교의 분석에 따르면, 이번 조치로 인해 미국의 국내총생산(GDP)은 0.36% 하락하고, 한국의 GDP 역시 0.29%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 재무부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6월까지 관세 수입은 사상 최고인 1130억 달러(약 15조6000억원)에 도달했지만, 전문가들은 관세 수입 증가와 일자리 창출이 서로 상충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고, 정책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미국 내에서 장기적으로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많은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정책이 실질적으로 경제 성장에 어떠한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을지를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현재의 고율 관세와 무역 질서 변화는 글로벌 경제에 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각국의 대응 또한 중요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