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한국의 강성 노조 출신 인력이 자국 조선업에 유입되는 것을 우려하며, 노조 활동 경험이 없는 젊은 인력을 요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한미 간의 조선 산업 협력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는 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와 관련이 깊다. 이 프로젝트는 약 1500억 달러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여 한국의 조선업체가 미국 내 조선소 인수 및 확장, 선박 건조, 유지 보수·정비(MRO), 인력 지원 및 양성 등을 핵심 어젠다로 삼고 진행되고 있다.
미국 정부는 한국에서 숙련된 인력을 지원받아 자국 조선업을 부활시키고자 하나, 강성 노조 활동 경험이 있는 인력이 미국으로 유입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염려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 정부는 은퇴를 앞둔 50대 및 60대의 숙련 인력을 미국에 파견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 중이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미국 측은 젊은 인력이 자국 조선업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장려하고 있으며, 이들이 장기적으로 미국에 체류할 수 있도록 특화된 비자 제도를 고려하고 있다고 전해진다.
산업통상자원부 김정관 장관은 국회에 참석하여 “조선업계에서 일자리의 상실이 우려되지만, 이는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라고 밝히며, 미국의 조선업계를 위한 한국의 인력 지원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강조했다. 김 장관은 또한 미국이 갖춰야 할 선박 건조 역량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한국의 숙련 기술자가 미국 노동자에게 기술을 제공하는 프로젝트가 현실적으로 추진되고 있음을 강조했다.
결론적으로, 한미 조선 협력은 한국의 우수한 인력과 기술을 활용하여 미국의 조선업을 부흥시키려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나, 양국 간의 인력 파견과 관련된 이견이 존재하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향후 MASGA 프로젝트의 추진과정에서 조정이 필요한 시점이 도래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