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10대 사이에서 인기인 ’67’…올해의 단어로 선정된 의미는?

[email protected]



미국 온라인 사전 플랫폼 딕셔너리닷컴은 2025년 ‘올해의 단어’로 ’67(식스세븐)’을 발표하며, 이 표현이 언어와 문화의 변화를 반영한다고 설명했다. ’67’은 이미 여러 사회적 맥락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유행어로, 주로 모호한 공감 표현으로 사용된다. 이는 “나도 알아” 또는 “그 느낌 알지?”와 같은 의미로, 10대 사이에서 소속감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자리잡았다.

이 유행어는 래퍼 스크릴라(Skrilla)의 곡 ‘Doot Doot(6,7)’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 틱톡 사용자가 NBA 스타 라멜로 볼의 신장(6피트 7인치)을 언급하는 영상을 활용하여 밈으로 급부상했다. 특히 스포츠 경기 중, 선수의 실수나 애매한 상황을 가볍게 희화화하는 맥락에서 자주 등장한다.

‘식스세븐’은 단순한 표현이 아니라 특유의 손짓과 함께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손짓은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고 두 손을 번갈아가며 흔드는 동작으로, SNS에서 밈으로 소비되며 고유한 상징이 되었다. 딕셔너리닷컴은 이 표현의 정의가 명확하지 않은 것이 오히려 정체성을 부각시키며, 세대 간의 문화적 공유를 나타내는 암호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67’의 유행은 학교 내에서 갈등을 일으키고 있는 상황이다. 학생들이 ’67’이라는 숫자를 듣기만 해도 소리치거나 제스처를 따라 하면서 수업이 방해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일부 초중고에서는 이 표현 사용에 대한 금지 규정을 발표하기도 했다. 부모 세대는 자녀가 갑자기 ‘식스세븐’을 외치는 이유를 이해하지 못해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67’이라는 표현이 세대 정체성과 집단 유대감을 형성하는 수단으로 작용한다고 해석한다. 텍사스 A&M대의 살바토레 아타르도 교수는 “10대들이 서로 이해할 수 있는 농담을 공유하며 자신들의 문화적 경계를 세우고 있다”며, 이러한 현상이 10대 문화의 특징임을 강조했다.

‘식스세븐’은 단순한 유행어 그 이상으로, 10대들이 자신들만의 사회적 정체성을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릴레이션은 시대적 변화의 상징이며, 앞으로도 계속해서 진화할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